님버스 변이 우세…극심한 통증 유발
국산 상용화 지지부진
|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 여름철 국내 코로나19 입원환자가 꾸준히 늘며 유행세가 8월 말까지 정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현재 코로나19 백신‧치료제 모두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으로 국내 일부 기업들이 개발을 이어가고 있으나 상용화까지는 갈 길이 멀기만 하다.
◆ 8월 말까지 유행 정점…님버스 변이 우세
2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국 병원급 표본감시 의료기관 221곳에서 집계된 코로나19 입원환자는 33주차(8월 10~16일) 기준 30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월 중순 이후 최근 7주 연속 증가세다.
연령별로는 올해 누적 입원환자 4100명 가운데 65세 이상이 60%(2458명)로 가장 많았으며 50~64세 18.4%(756명), 19~49세 9.9%(407명) 순이었다. 의원급 표본감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률은 같은 기간 31.5%로 전주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하수 내 바이러스 농도는 완만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방역 당국은 올해 코로나19 여름철 유행이 이미 시작됐으며 이달 말까지를 유행의 정점 구간으로 보고 있다.
올해 국내 코로나19 확산을 주도하는 것은 ‘NB.1.8.1’ 변이, 일명 ‘님버스(Nimbus)’다. 오미크론 계열에서 파생된 이 변이는 전파력이 높고 목구멍이 베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하는 특징을 지닌다. 인접국인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올해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오면서 기존에 우세종이던 코로나19 LP.8.1 변이가 NB.1.8.1 변이로 바뀌었다.
신상엽 KMI한국의학연구소 연구위원은 “다행히도 올해 6월 주변국에서 코로나19 유행하던 시기에 방역 당국에서 국내 여름 유행을 예측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남아있던 코로나19백신 접종을 독려했고 6월 말까지 80여만 명의 고위험군이 추가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이번 여름 유행은 작년에 비해서는 규모가 작고 고위험군의 피해도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 제프티·조코바·피라맥스 모두 제자리
국산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현재 접종에 사용되는 백신은 대부분 외국 제약사 제품을 수입해 사용하고 있으며 치료제 역시 ‘라게브리오’(머크)와 ‘팍스로비드’(화이자) 등 수입 의약품에 의존하고 있다. 과거 팬데믹 시기 탄생했던 국산 치료제 ‘렉키로나’(셀트리온), 백신 ‘스카이코비원’(SK바이오사이언스)는 현재 생산하지 않고 있다.
팬데믹 초기 ‘국산 백신·치료제 자주권’을 확보하겠다는 선언이 무색하게 국내 개발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자금력 부족, 낮은 성공 가능성,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 격차에 엔데믹과 맞물러 환자 수까지 크게 줄며 다수 기업이 개발을 중도 포기했다.
국내 기업들의 개발 현황을 보면 상황은 더욱 뚜렷하다. 현대바이오사이언스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인 ‘제프티(Xafty)’는 통계적 유효성을 입증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지난 4월 2/3상 통합 임상시험 승인이 반려됐다.
일동제약의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는 일본 시오노기제약과 협력해 국내 임상을 이어가고 있으나 국내 승인 절차가 2년째 멈춰 있다. 시오노기제약은 현재 조코바의 미국 FDA(식품의약국) 허가를 추진 중이며 지난해 허가 신청을 자진 취하한 일동제약은 미국 상황에 맞춰 조코바의 임상데이터를 강화해 재신청하겠다는 계획이다.
신풍제약은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를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으나 임상시험에서 유효성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외에도 셀리드는 지난해 11월 오미크론 대응 백신 ‘AdCLD-CoV19-1 OMI’의 임상 3상 시험 대상자에 대한 모집과 투여를 모두 완료하고 중간분석 자료를 확보하고 있으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올 3분기 중으로 조건부 품목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대한 정부 지원이 단기 과제 위주로 이뤄지면서 산업 생태계 자체가 약하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기반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국산 백신·치료제 확보는 단순한 산업 성과를 넘어 국가 안보 차원의 문제”라며 “민간 기업의 도전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한 만큼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동주 기자 ed30109@sporbiz.co.kr
관련기사
- “코로나19, 앞으로 한 달 유행 정점…고위험군 주의 필요”
- 코로나19 환자 6주 연속 증가…65세 이상 전체 절반 넘어
- 약국에 없다?…질병청,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현장 점검 실시
- 정부, 화이자·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총 530만 도즈 수급
- 신풍제약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 코로나19 유럽 특허 획득
- “코로나19 감염자, 비감염자比 심혈관 질환 위험 약 62% 높아”
- 셀리드, 신규 코로나19 변이 백신 생산 시작…상용화 박차
- 지난해 응급실 찾은 손상 환자 57% 감소…의정갈등 여파
- 국내 코로나19 확산세 8주 연속↑
- 일동제약그룹 아이디언스, 700억 규모 항암신약 라이선스 계약 체결
- 연평균 125% 성장…일동제약, ‘드롭탑’ 동남아 4개국 추가 진출
- 현대바이오, 베트남서 범용 항바이러스제 ‘제프티’ 과립형 제형 승인 획득
- 9월에도 코로나19 환자 확산세…10주 연속↑
- 오너리스크 벗은 신풍제약…경영 정상화 잰걸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