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연매출 30억원 이하 매장에서 뚜렷한 효과 나타나
 정부가 지난 7월 21일부터 국민에게 지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상공인 매출 증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정부가 지난 7월 21일부터 국민에게 지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상공인 매출 증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 정부가 지난 7월 21일부터 국민에게 지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상공인 매출 증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신용데이터(KCD)는 전국 소상공인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시행된 이후 4주간(7월 21일~8월 17일) 전국 소상공인의 평균 카드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약 6.4%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2주차에는 10.1%로 최고점을 기록하며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3주차까지 상승세가 이어졌다. 다만 4주차에는 지난해 대비 증가율이 1.2%로 둔화되며 초기 효과에 비해 상승 폭이 축소된 양상을 보였다.

업종별로 보면 유통업의 매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유통업종은 지난해 대비 16.5% 상승했으며 세부 업종별로는 안경점(43.9%), 패션·의류(33.2%), 완구·장난감(32.7%), 전자담배(31.3%), 화장품(30.1%) 등이 모두 30% 이상 증가했다. 

외식업에서는 피자 전문점(18.8%), 국수 전문점(18.6%), 초밥·롤 전문점(13.2%) 등 가성비 중심의 소규모 외식 업종이 매출 증가를 보였다. 

서비스업은 네일숍(29.4%), 비뇨기과(25.2%), 미용·피부관리(16.1%) 등 건강 관리와 외모 관리와 관련된 업종이 지난해 대비 큰 폭의 매출 상승을 기록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카드 매출 분석 결과. /한국신용데이터 제공
민생회복 소비쿠폰 카드 매출 분석 결과. /한국신용데이터 제공

사업장 규모별로는 연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에서 소비쿠폰 정책의 효과가 뚜렷하게 확인됐다. 유통업의 경우 30억원 미만 매장은 지난해 대비 18.0%가 증가했다. 소비쿠폰이 지급되면 30억원 이상의 매장에서는 오히려 수요 감소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매출 30억 원 이상 매장에서도 2.7% 매출 증가가 관측됐다. 

서비스업은 30억 미만 매장에서 5.7% 증가했으며 30억 이상 매장에서도 0.4% 증가했다. 외식업은 30억 미만 매장에서 3.6% 증가했고 30억 이상 매장에서도 1.3%의 상승 폭을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30억 미만 매장은 평균 6.9% 증가했고 30억 이상 매장은 1.1% 증가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부산(10.9%·대구(10.5%)·울산(9.0%) 등 경상권 광역시의 증가율이 높았으며 서울은 평균 5.8% 증가했다. 서울 내에서는 도봉구(13.2%)·동대문구(11.7%)·중랑구(10.9%) 등 동북권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매출 증가세를 보였다.

강예원 한국신용데이터 데이터 총괄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시행 4주차까지 전국적으로 소상공인 매출을 끌어올리고 있으며 특히 연매출 30억원 이하 소규모 매장에서 뚜렷한 효과가 확인됐다”며, “2주차에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으며 고가 내구재와 합리적 외식, 자기 관리 소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의미 있는 소비가 이어진 만큼 정책이 더 많은 골목상권 회복으로 연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신용데이터는 전국 180만 사업장에 경영관리 서비스 ‘캐시노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축적된 경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정책 효과 분석과 맞춤형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성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