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AI·에너지·방산·전략기술 대폭 확대
연구 생태계 복원·인재 유치 본격 추진
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스경제=박정현 기자 | 정부가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을 35조3000억원으로 확정했다. 올해보다 5조7000억원(19.3%)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R&D 예산으로‘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을 핵심 기조로 내세웠다.

이번 배분·조정 결과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총괄하는 주요 R&D 예산은 처음으로 30조원을 돌파한 30조1000억원으로 올해보다 5조3000억원 확대됐다. 기획재정부가 편성하는 일반 R&D는 5조2000억원으로 4000억원 늘었다.

특히 인공지능(AI) 분야 투자가 두 배 이상 확대됐다. 정부는 범용인공지능(AGI), 경량·저전력 AI, 피지컬AI 등 차세대 기술과 AI 인프라 생태계에 2조3000억원을 투입한다. 연구·산업·공공 전반의 AI 융합을 통해 ‘AI 기본사회’ 전환을 가속화한다.

에너지 분야에는 2조6000원을 배정해 초고효율 태양전지, 초대형 풍력시스템 등 차세대 재생에너지 실증과 AI 기반 에너지 관리시스템, 차세대 전력망 기술 개발에 나선다. 소형모듈원자로(SMR),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기술도 지원한다.

전략기술은 8조5000억원(29.9%↑)을 투입해 5년 내 핵심기술 자립화를 목표로 한다.

방위산업 분야는 K-9 자주포 성능 고도화 등 신기술 접목과 전략수출산업 육성에 3조9000억원을 지원한다.

중소벤처 지원 예산은 3조4000억원(39.3%↑)으로 대폭 늘어 민간투자 연계형 R&D, 경쟁보육형 R&D 등을 추진하고 대학·출연연 기술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초연구 분야 예산은 3조4000억원(14.6%↑)으로 개인기초 연구과제를 확대하고 폐지됐던 기본연구를 복원한다.

이공계 인재 확보도 강화한다. 인력양성 예산은 1조3000억원(35%↑)으로 최고급 연구자와 해외 우수 인재 유치에 집중된다. 정부는 ‘브레인 투 코리아(Brain to Korea)’ 프로젝트를 통해 신진 연구자 영입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역성장 분야 예산은 1조1천억원(54.8%↑)으로 지역 주도형 자율 R&D와 특화산업 연계형 대규모 AI 응용 연구를 지원한다.

재난안전 분야에도 2조4000억원(14.2%↑)이 투입돼 다부처 협력형 복합 재난 대응사업이 추진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R&D 예산안은 연구생태계 회복을 넘어 완전한 복원과 진짜 성장을 위한 파격적 확대”라며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R&D 투자 시스템을 구축해 지속 가능한 연구 생태계를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박정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