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미국 정부가 한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 내 공장에 미국산 장비 공급을 제한한다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현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20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 수출 통제 부문 책임자인 제프리 케슬러 산업·안보 담당 차관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대만 TSMC에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중국내 공장에 대한 미국산 장비 공급을 제한한다는 방침을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캐슬러 차관은 중국 내 공장에 미국 반도체 제조 장비를 공급할 때 매번 허가를 신청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조치를 취소하길 원한다는 입장을 통보했다. 한국과 대만 반도체 기업들의 중국내 공장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가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앞서 조 바이든 정부는 중국의 반도체 생산기업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지 못하도록 통제했으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에 대해서는 적용을 유예한 바 있다.
미국 상부부 측은 이번 조치가 미국산 장비 반입 방법을 허가제로 전환하기 위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상무부 대변인은 "반도체 제조사들은 여전히 중국에서 사업을 지속할 수 있다”며 “이번 조치는 중국에 수출하는 다른 반도체 기업들에 적용되는 허가 요건을 반영해 동등하고 상호적인 절차를 갖추게 하려는 것이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번 조치로 미국의 통제가 강화되더라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TSMC의 중국 공장이 즉각 폐쇄되지는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원활한 운영이 점차 어려워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측은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고 있으며, 상황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에 D램 공장, 충칭에 패키징 공장, 다롄에 인텔로부터 인수한 낸드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