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에너지부, 2030년까지 신규 대형 원자로 10기 착공
두산에너빌리티·한전기술 등에는 ‘기회’ 작용 전망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미국 정부가 지난 23일(현지시간) 원자력 발전 용량을 늘리고 원전 안전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4개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이 원전 확대를 추진함에 따라 국내 관련 기업들에 기회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우리는 오늘 엄청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며 “이것은 이 산업에서 미국을 진짜 파워 국가로 다시 만들 것”이라며 이 같은 조치를 취했다.
행정명령에는 ▲원자력규제위원회(NRC) 개혁 ▲에너지부 내 원자력 에너지 연구 개혁 ▲연방정부 토지 내 원전 건립 추진 ▲미국 내 우라늄 채굴 및 농축 확대 등이 담겼다.
구체적으로 현재 약 100GW(기가와트) 규모인 원자력 발전 용량을 2050년까지 400GW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전임 조 바이든 대통령이 같은 기간 3배 키우기로 한 것보다 더욱 높였다.
목표 달성을 위해 미 에너지부는 2030년까지 신규 대형 원자로 10기를 착공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원자로 시험과 관련한 규제 절차를 개정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으며 신규 원자로 인허가 기간을 기존 4~6년에서 18개월로 대폭 단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제는 원자력 시대이며 우리는 매우 크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글로벌 전력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전 세계 전력 생산량은 3만71TWh(테라와트시)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고, 이중 원자력은 2671TWh를 생산해 전체 전력의 8.9%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32개국에서 운영 중인 약 440기의 상업용 원자로는 총 397~400GW의 설비 용량을 보유하고 있는데, 주목할 점은 평균 설비 이용률이 81.5%에 달한다는 것이다. 한화투자증권은 “이는 간헐적 특성을 가진 재생에너지와 달리 원자력이 안정적인 기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세계 원전 설비 용량은 2023년 말 372GW에서 2050년 최소 514GW에서 최대 950GW로 증가할 전망이다. 즉 최소 38%에서 최대 155%까지 확장될 것이란 예측인데 IAEA는 신규 원전 건설의 70%가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2035년까지 원전 운영국이 현재 32개국에서 42~44개국으로 10~12개국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더불어 국제에너지기구(IEA) 역시 올해 전 세계 원자력 발전량이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의 폭발적 성장에 힘입어 역사적으로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2050 넷제로 시나리오(Net Zero by 2050(NZE)'에서 원전 설비 용량이 2022년 초 413GW에서 2050년 812GW로 2배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외에도 프랑스가 노후화로 떨어졌던 원전 가동률을 2023년 이후 회복시키고 있으며, 프랑스 정부는 ‘원자력 르네상스’를 선언해 EDF 국유화와 재정 지원 확대를 통해 신규 원전 건설과 기존 설비 수명 연장을 추진하고 있다.
또 베트남은 첫 원전 건설을 추진한다. 설치 용량은 대형 원전 4~6기에 해당하는 4~6.4GW에 달하며 2030~2035년 중 첫 원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러시아와 원전 건설 협정을 신속히 체결하기로 지난 12일 합의했고, 이밖에 일본, 한국, 프랑스, 미국과의 협력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원전 신규 건설 사업이 구체화되면 국내 기업들도 여기에 뛰어들 기회를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사업의 규모가 미국 원자력 기업 웨스팅하우스가 단독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수준이기 때문이다.
허민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원자력 공급망 부족 등을 감안하면 웨스팅하우스의 AP1000만으로 2050년까지 95GW 이상을 건설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다.
허민호 연구원은 “특히 미국 발전시장은 ‘민영화’된 시장이기 때문에 민간으로부터 자금 조달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기 및 예산 준수’에 대한 신뢰가 높아야 한다”며 “원전 개발사의 책임 운전 등을 위해 원전 개발사의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일부 지분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미국의 이번 행정명령으로 가장 큰 원전 시장인 미국으로 대형 K-원전 진출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허 연구원은 “대형 K-원전의 미국 진출이 성공하면 그동안 주가 상승이 지지부진했던 한전기술의 주가 도약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에 대해서도 “두산에너빌리티도 다수의 미국 소형모듈형원자로(SMR) 설계 회사 및 웨스팅하우스향 원자로 기자재 공급, 미국 진출 등의 동시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틸리티 업종 투자의견은 ‘비중 확대’, 목표 주가는 한전기술 9만5000원 유지, 두산에너빌리티는 성장성 확장과 목표 EV/EBITDA를 반영해 4만6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