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1.8%↑, S&P 500 2.1%↑, 나스닥 2.5%↑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27일(이하 현지시간)뉴욕증시가 상승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 50% 관세 부과를 한 달 가량 유예하면서 투자심리를 되살린 결과로 해석된다. 엔비디아, 애플 등 대형 기술주가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40.58포인트(1.78%) 오른 42,343.65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8.72포인트(2.05%) 오른 5,921.54에 거래를 마쳤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61.96포인트(2.47%) 오른 19,199.16에 장을 마감했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 23일 EU에 50%관세 부과 시기를 6월 1일부터 할 수 있다고 말했다가 “좋은 합의에 도달하려면 7월 9일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며 입장을 이틀 만에 뒤집었다.
전날 메모리얼데이(현충일)을 맞아 휴장한 뉴욕증시는 관세 유예에 따른 안도감에 강세로 출발해 장중 내내 상승 폭을 키웠다.
◆ ‘M7’ 주도…테슬라 7% 급등
테슬라는 이날 6.9% 급등했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회사에 집중하겠다고 선언한 영향이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엔비디아(3.21%), 애플(2.54%), 마이크로소프트(2.34%), 아마존(2.50%), 알파벳(2.62%), 메타(2.41%) 등 다른 대형 기술주 종목(M7)들도 2∼3%대 상승했다.
미국 국채 수익률도 심리 저항선 밑으로 떨어졌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45%로, 직전 거래일(지난 23일)인 오후 대비 6bp(1bp=0.01%p) 하락, 4.50%선 밑으로 다시 내려왔다.
30년물도 같은 시간 4.95%로 직전 거래일 대비 8bp 하락해 역시 5%선 밑으로 다시 떨어졌다.
10년물과 30년물 수익률은 무디스의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트럼프의 감세 법안 처리 등 여파로 지난주 4.5%, 5,0%를 넘어서면서 안전자산으로서 미 국채의 신뢰성에 금이 가고 있다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뉴욕증시] ‘메모리얼 데이’로 휴장
- [뉴욕증시] 트럼프 ‘감세법안’ 하원 통과…美 국채금리 하락에 반등 후 혼조 마감
- [뉴욕증시] 한 달 만에 가장 큰 낙폭 마감…트럼프 ‘감세 법안’ 재정적자↑
- [뉴욕증시] 3대 지수 14일 만에 동반 하락
- [뉴욕증시] 美 신용등급 강등 후 첫 거래일…강보합 마감
- [뉴욕증시] 3대 지수 동반 약세 마감…엔비디아 실적 경계심 커져 투심 억제
- [뉴욕증시] 美 법원 관세 무효에 ‘좌지우지’…동반 상승 마감
- [뉴욕증시] 트럼프·시진핑 통화 가능성↑…동반 상승 마감
- [뉴욕증시] 美 백악관, “미중 정상 조만간 대화 있을 것”…동반 강세 마감
- [뉴욕증시] 트럼프, “중국과 협상 쉽지 않은 일”…혼조 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