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0.7%↑, S&P500 0.4%↑, 나스닥 0.2%↓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미국 4월 도매물가 지수가 급락하고 소비지표가 전월과 비교해 상승폭이 크게 꺾였음에도 뉴욕증시는 큰 반응을 보이지 않은 채 사흘째 혼조 마감했다.
지난 10일과 11일(이하 현지시간)미중 무역협상 결과로 만들어진 강세 분위기를 계속 이어가며, 나스닥은 소폭 하락했고 이틀간 조정을 받은 다우지수는 반등했다.
1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1.69포인트(0.65%) 오른 42,322.75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35포인트(0.41%) 상승한 5,916.93에, 나스닥종합지수는 34.49포인트(0.18%) 내린 19,112.32에 거래를 마쳤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4월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0.1% 증가한 7241억달러로 집계됐고 3월 증가율(1.5%→1.7%)은 상향 조정됐다.
같은 달 소비지표는 소폭 증가했지만 전월의 증가율과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꺾였다. 유제니오 알레만 수석 이코노미스트(레이몬드제임스)는 이와 관련해 “소비자들이 무엇을 소비하고 지출을 줄일지를 신중히 선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가파르게 떨어지며 5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4월 PPI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 대비 0.5% 떨어졌다. 이는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수치로 2020년 4월 이후 최대폭으로 꺾였다. 뉴욕증시는 경기지표 결과에 무덤덤한 반응을 보였다.
조 쿠식 수석 부사장(칼라모스인베스트먼트)은 “경기 침체 우려를 덜어내고 증시가 기반을 다지면서 시장은 신중한 낙관론으로 전환됐다”면서도 투자자들은 거시·미시경제 위험요인드을 헤쳐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 ‘M7’ 혼조…아마존·메타 2%↓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혼조를 나타냈다. 아마존과 메타는 2% 이상 떨어졌다. 테슬라는 1.40% 내렸다. 메타는 신규 인공지능(AI)서비스의 출시를 미룬다는 소식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 기술, 통신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유틸리티와 필수소비재는 2% 이상, 부동산과 의료건강은 1% 이상 상승했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뉴욕증시] 시장 ‘흔들’ 재료 없어 3대 지수 혼조세 마감
- [뉴욕증시] 미중 무역협상 훈풍은 ‘지속’…빅테크주 ‘강세’
- [뉴욕증시] 미중 관세 115%p ‘확’ 내렸다…투자자들 ‘반색’
- [뉴욕증시] 3대 지수 동반 상승…미영 무역협상 합의 후 ‘훈풍’
- [뉴욕증시] 연준, 기준금리 또 동결…상승 마감
- 뉴욕 증시, 3대 주가 지수 동반 강세…"美·中 긴장 완화 효과"
- [뉴욕증시] 美 신용등급 강등 후 첫 거래일…강보합 마감
- [뉴욕증시] 3대 지수 14일 만에 동반 하락
- [뉴욕증시] 한 달 만에 가장 큰 낙폭 마감…트럼프 ‘감세 법안’ 재정적자↑
- [뉴욕증시] 트럼프 ‘감세법안’ 하원 통과…美 국채금리 하락에 반등 후 혼조 마감
- [뉴욕증시] ‘메모리얼 데이’로 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