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소비자물가가 두달 연속 2%대 상승률을 보였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25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08(2020년=100)로 지난해 2월보다 2.0%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1.3%를 기점으로 11월 1.5%, 12월에는 1.9%까지 상승하더니 올해 1월(2.2%)에는 2%대에 진입했다. 지난달에는 상승폭은 축소됐으나 2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유지했다.
부문별 동향으로 보면, 지출목적별로는 기타 상품·서비스(4.1%), 음식·숙박(2.9%), 가정용품·가사서비스(2.3%), 교통(2.2%), 교육(2.1%), 의류·신발(2.0%), 주택·수도·전기·연료(2.0%), 식료품·비주류음료(2.0%) 등이 상승했다.
품목성질별로 보면, 상품이 전년 동월 대비 1.0%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전기‧가스‧수도가 3.1% 상승했고, 공업제품과 농축수산물이 각각 2.0%와 1.0% 올랐다. 전기‧가스‧수도에서 지역난방비(9.8%), 도시가스(6.9%) 등이, 농축수산물에선 무(89.2%), 배추(65.3%), 당근(59.6%), 배(21.9%) 등이 큰 폭으로 올랐고, 공업제품에서는 한방약(12.2%), 휘발유(7.2%), 경유(5.3%) 등이 크게 상승했다.
서비스는 2.1%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개인서비스는 보험서비스료(15.1%), 공동주택관리비(5.0%)를 중심으로 전년 동월ㅈ대비 3.0% 올랐다. 집세와 공공서비스는 각각 0.7%와 0.8%가 상승했다.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무려 2.6% 상승했고,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8% 올랐다.
반면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4% 하락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관련기사
- IBK기업은행, 부산해군과학기술고에 장학금 전달
- 이복현, 증권사 본연의 역할 강조…"모험자본 공급해야"
- 하나금융, 신중년 일자리 생태계 조성… 창업 교육과정 추가
- 하나은행, 산업통상부·도로공사와 에너지절약사업 '맞손'
- 양종희 KB금융 회장, 'MWC25'서 '금융·통신' 융합 혁신 모색
- 1월 경상수지 29.4억달러 흑자…수출 16개월 만에 감소
- KB금융, GSMA와 ICT·금융 분야 협업 강화 '맞손'
- 신한은행, 17억원대 횡령사고 발생…올해 두 번째 금융사고
- "트럼프 관세 전쟁으로 세계 경제 둔화"...OECD, 韓 경제 성장률 대폭 ‘하향 조정’ [The SIGN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