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권선형 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최적화된 바나듐 이온 배터리(VIB)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스탠다드에너지가 지난 주 개최된 배터리 재팬(Battery Japan) 2025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5일 밝혔다.
스탠다드에너지와 VIB ESS의 일본 영업을 담당하는 LB휴넷(LB휴넷)은 지난 주 19~21일 일본 최대 전시회장인 도쿄 빅사이트에 VIB ESS 전시 부스를 운영했다. 발화위험성이 없고 고출력, 장수명 운영이 가능하다는 VIB ESS의 장점을 주로 제시했던 지난 해 전시 내용에 더해 올해 전시회에서는 현재 일본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업모델이 제시돼 일본 관람객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일본 현지의 이차전지 기업과 발전, 건설, 자동차 업체 관계자들의 VIB ESS의 일본 상용화 시기, 향후 협력 가능성에 대해 문의가 이어졌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전기차 충전기 국내 1위 제조업체이자 충전 서비스 업체인 채비의 초급속 전기차 충전기가 VIB와 연계된 모델이 부스에 전시됐다. 스탠다드에너지와 채비는 지난 2024년 4월 ‘전기차 충전 솔루션 공동 개발, 국내외 시장 개척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이후 전기차 초급속 충전 시장에 VIB ESS를 적용하는 사업모델을 개발하는 데 함께 노력하고 있다.
일본 전기차 시장은 일반 전기차 대비 20~40% 정도의 작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EV 경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차량 위주여서, 자주 빠른 속도로 전기차를 충전해야 해 전기차 초급속 충전의 필요성이 크다. 전기차 초급속 충전기는 1회 충전 시 사용되는 전력량이 커서 ESS를 통한 출력보조가 필요한데, 전기차를 많이 이용하는 도심지, 인구밀집지역에 ESS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ESS의 절대적인 안전성이 요구된다. 특히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은 일본 시장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VIB ESS가 높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스탠다드에너지는 지난 2022년 서울 강남 압구정동에 ESS 연계형 초급속 전기차 충선소인 Charger5를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스탠다드에너지와 LB휴넷, 채비 등 3사는 일본 전기차 충전 시장이 VIB ESS를 적용한 전기차 충전기가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향후 적극적으로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2025년 상반기 중 일본에 VIB ESS를 연계한 초급속 충전 서비스를 일본 내 운송기업과 함께 실증해 나가기로 했다.
지난 CES 2025에서 혁신상을 수상한 에너지 타일도 일본 관객의 큰 관심을 끌었다. 지진 등 각종 재난 상황에서 전력공급이 차단될 우려가 있어 일본은 다른 나라보다 가정용 ESS 시장이 크게 형성돼 있다. 하지만 목조건물 위주의 일본 주택 특성상 발화위험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어, VIB ESS를 주택용, 건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느냐가 관심이었다. 관람객들은 주택 등 건축물에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공간에 대한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절대적인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에너지타일에 대해 놀랍다는 반응이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스탠다드에너지와 LB휴넷은 일본 내 에너지타일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다고 판단하고 향후 일본 시장에 적합한 에너지타일 사업 모델을 구체화해 일본 내 파트너십 등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스탠다드에너지 김부기 대표는 “지난해 이어 올해 행사를 통해 일본 시장에서 VIB ESS에 대한 높은 관심과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실제 일본 시장에서 신속히 적용할 수 있는 사업모델을 통해 일본 진출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