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ESG행복경제연구소, 기업의 적극적 ESG경영 확대 유인 동기 제공
"ESG는 기업의 장기 발전을 위해 필요...외면하지 말아야"
"평가 결과가 기업과 정치, 사회에 가야할 방향에 대한 메시지 줘야"
황영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회장이 2월13일 서울 종로구 서머셋팰리스서울 호텔에서 열린 'ESG 지속가능 경영 자문위원단 정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최대성 기자 dpdaesung@sporbiz.co.kr 2025.02.13.
황영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회장이 2월13일 서울 종로구 서머셋팰리스서울 호텔에서 열린 'ESG 지속가능 경영 자문위원단 정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최대성 기자 dpdaesung@sporbiz.co.kr 2025.02.13.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황영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회장(전 KB·우리금융지주 회장)이 ESG행복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시총 250대 기업 ESG평가'를 두고 보고서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별도로 사회에 메시지를 던져줄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황 회장은 지난달 13일 서울 종로 서머셋팰리스서울 2층 회의실에서 열린 'ESG 지속가능경영 자문위원단 정례회의'에서 ESG행복경제연구소의 시총 250대 기업 ESG 평가에 대해 “250대 기업을 ESG 측면에서 평가하는데, 평가 결과가 기업에 주는 시사점, 사회 전체에 주는 시사점 등 메시지를 많이 줘야 한다”고 평가했다.

황 회장은 “수치로만 보이는 평가 외에도 환경·사회·거버넌스 등에 짧게나마 평가에 대한 해설을 추가한다면 기업들이 향후 ESG경영에 대한 질적인 보완을 더 쉽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ESG 평가 기준이 기업의 실제 경영 수준을 얼마나 반영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황 회장은 “상당히 높은 수준을 보인다고 생각한다”며 “경영의 세부 사항들이 ESG 평가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반영률이 높게 나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평가를 통해 기업들이 ESG경영을 수용하는데 어떤 효과를 나타낼지에 대해서는 “공신력 있는 제3의 기관이 기업들의 ESG 활동을 평가해서 발표하고 있다는 자체가 기업들로서는 ESG경영에 적극적으로 나설 유인 동기를 제공한다고 생각한다”며 “가능하다면 향후 범위가 확장돼서 더욱 많은 기업에 대한 ESG 평가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ESG 평가가 기업 경영의 실질적인 지표로 자리 잡으려면 어떤 점이 보완돼야 하냐는 질문에는 “최고 경영자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단언했다. 이어 “최고경영자의 의지와 함께 ESG경영을 조직의 각 부서에서 주요 추진 과제로 채택하고 평가하도록 경영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황 회장은 지난해 자문회의에서 거버넌스 부문에서 조금 더 날카로운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한 바 있다. 실제 기업들의 거버넌스가 개선됐다고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 황 회장은 “많이 개선됐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아직도 이사회 구성이나 독립성 측면에서 아쉬운 점이 많다”고 했다.

그는 “기업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일은 아니지만, 과중한 상속세 문제가 지배구조 문제의 밑바닥에 자리 잡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황 회장은 “경제가 계속 어려워 기업들이 생존에만 집중하면서 ESG 문제를 소홀히 하는 느낌을 받았다”며 “ESG는 기업의 장기 생존과 발전을 위한 시간이다. 어렵더라도 기업들이 ESG를 절대 무시하지 말고 꾸준하게 더 좋은 ESG정책을 세우려고 노력해서 ESG 측면에서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분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ESG 평가에 대해서도 “사회·경제적으로 선순환구조를 창출하는 방향에 초점을 맞춘 임팩트 평가의 중요성이 요구된다”며 “이를 통해 ESG 평가 결과가 기업에 주는 시사점, 사회 전체에 주는 시사점, 정부나 사회단체에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기대를 표했다.

황 회장은 서울대·런던대학교를 졸업한 뒤 △삼성그룹 국제금융 팀장 △삼성증권 대표이사 사장 △재정경제부 금융발전심의회 증권분과위원회 위원 △우리금융지주회사 겸 우리은행장 △KB금융지주 회장 △한국금융투자협회 회장 △한미협회 회장 △법무법인 세종 고문 등을 거쳐 2022년 8월부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회장직을 역임하고 있다.

 

신연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