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세대 내 욕실 당해층 배관 공법 도입, 정숙성 확보
기존 '층하배관 공법'(왼쪽)일 때와 '욕실 당해층배관 공법'을 적용한 주택의 소음 차이. /LH 제공
기존 '층하배관 공법'(왼쪽)일 때와 '욕실 당해층배관 공법'을 적용한 주택의 소음 차이. /LH 제공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동주택 주방과 욕실에 '욕실 당해층배관 공법'을 적용해 생활소음 원천 차단에 나선다고 6일 밝혔다.

역실 당해층배관 공법은 욕실 벽면에 해당층 오·배수배관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세대 욕실에 있는 양변기와 샤워기에서 배출되는 용수가 아래층 세대로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세대 내에서 직접 배출돼 배관을 타고 아래로 전달되던 배수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실험에 따르면 욕실 당해층배관 공법을 사용할 경우 배수소음이 기존 46데시벨(dB)에서 38dB로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공부방 정도의 정숙성이 확보되는 수준이라고 LH는 밝혔다.

아울러 LH는 이웃 간 주방과 욕실을 통해 소음이나 냄새가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당해층 배기방식을 모든 주택(분양, 임대)에 적용한다.

분양지구 욕실·주방과 임대지구 욕실의 경우 지난 2023년 적용 완료됐으며 임대지구 주방은 지난해 10월 적용됐다.

그간 공동주택 주방과 욕실에서 레인지후드 등 환기장치를 사용할 경우 소음과 냄새가 위·아랫세대로 연결된 공용배관을 타고 다른 세대로 전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당해층 배기방식은 해당 세대 내에서 외기로 직접 배출함으로써 세대 간 소음·냄새 전달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오주헌 LH 공공주택본부장은 "공동체 주거생활에 불편을 야기하는 각종 생활소음을 해결하기 위해 우수한 자재와 새로운 공법 발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쾌적하고 살기 좋은 주거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국민 주거 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