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메디코스바이오텍 디지털헬스 혁신상…아보링·온메드 원격의료 눈길
디지털헬스케어 기업들이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5의 메인 분야로 떠올랐다.
디지털헬스케어 기업들이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5의 메인 분야로 떠올랐다.

[한스경제 권선형 기자] 디지털헬스케어 기업들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5의 메인 분야로 떠올랐다.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 속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실제 현장에서 디지털헬스케어 기업들은 AI(인공지능)을 적용한 다양한 혁신 기술을 소개하며 관람객들을 맞고 있다.

CES 2025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디지털헬스케어 분야는 AI를 활용한 진단 도구, 웨어러블 건강 기기, 원격 의료 플랫폼 등이다.

국내 바이오기업 메디코스바이오텍(MedicosBiotech)은 CES 2025 디지털헬스 부문 혁신상을 수상하며 주목받고 있다. 단백질 기반 치료 패치를 결합한 혁신적인 만성 상처 치료 솔루션이다.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해 상처 이미지를 분석하고, AI 기반 진단을 통해 상처 유형과 심각도를 파악해 맞춤형 치료 권장사항을 제공한다.

아보(Aabo)는 아보링(Aabo Ring)이라는 스마트 웨어러블 링을 선보이고 있다. 이 기기는 수면 모니터링, 스트레스 추세, 혈중 산소, 호흡률, 체온, 걸음 수, 심박수, 맥박수 등 다양한 생체 신호와 건강 지표를 추적한다.

갤렌 헬스(Galen Health)는 AI를 기반으로 한 조기 췌장암 진단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스크리닝 시스템은 전자 건강 기록과 통합돼  AI를 사용해 위험군 환자를 식별한다. 

온메드(OnMed)는 원격 의료의 혁신을 보여주고 있다. 개인 부스에서 단순한 화상 상담을 넘어 혈압, 체온, 산소 포화도와 같은 기본적인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의료진에게 전달한다.

이번 CES 2025에서는 AI, 웨어러블 기술, 원격 의료 등이 디지털 헬스케어의 주요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다. 혁신적인 기술들은 개인화된 건강관리와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은 2020년 약 182조원에서 2027년 약 61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18.8%로 전망되며, 2025년에는 5,044억 달러(약 604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도 2024년까지 4.7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권선형 기자

관련기사

키워드

#ces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