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국산 철도 기술…K-철도신호 수출 기대
지난 14일 정식 운행을 시작한 광역전철 대경선/ 현대로템
지난 14일 정식 운행을 시작한 광역전철 대경선/ 현대로템

[한스경제=최창민 기자] 현대로템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지난 14일부터 운영하는 비수도권 최초 광역철도 노선인 대경선 전동차에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orean Train Control System-2, KTCS-2)’을 처음으로 적용했다고 16일 밝혔다.

KTCS-2는 국가 연구개발(R&D) 과제인 국내 신호 시스템 표준화와 국산화 계획에 따라 개발됐다. 현대로템은 지난 2012년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해당 과제에 철도기술연구원, 국가철도공단, 코레일 등과 연구기관으로 참여했다. 2018년까지 68개월 만에 KTCS-2의 연구개발, 성능 검증, 제품 인증을 마쳤다.

KTCS-2는 국내 철도망의 표준화는 물론 안전하고 효율적인 철도 차량 운행에 기여할 전망이다. 기존에는 국산화된 철도 신호 기술이 없어 외산 신호 시스템에 전적으로 의존해왔다. 

대경선은 KTCS-2가 처음으로 공식 적용된 철도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럽연합(EU)의 열차제어시스템(ETCS) 규격을 충족해 해외 신호 체계와 호환도 가능하다.

현대로템은 향후 KTCS-2가 고속 선로를 포함한 국내 철도망에 확대 적용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면 지난 6월 첫 수출 성과를 이뤄낸 ‘K-고속철’에 이어 ‘K-철도신호’의 해외 진출을 기대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신호 체계 표준화로 보다 쾌적한 철도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국산 신호시스템 운영에 힘쓰겠다”며 “앞으로도 국내 고속철도 인프라 개선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말했다.

최창민 기자

키워드

#현대로템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