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사업 실현성 높은 주민제안 방식으로 추진"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서울시가 지난 11일과 14일 제7차 모아타운 대상지 선정위원회를 열어 공모에 신청한 21곳 중 구로구 개봉동, 강서구 화곡본동, 강북구 수유동 2곳, 강북구 번동 등 5곳을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모아타운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10만㎡ 이내 노후 저층 주거지를 하나로 묶어 아파트 단지를 짓는 주택 정비사업이다.
이번에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된 5곳은 노후한 다세대·다가구가 밀집돼 재개발이 어렵고 고질적인 주차난, 녹지부족 등 불편을 겪는 곳이다. 반지하 주택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한 곳이기도 하다.
구로구 개봉동 20(면적 6만㎡)은 노후주택이 74%, 반지하주택이 51%에 달한다. 침수피해 우려, 부족한 기반시설로 지역 주민들이 오랜 기간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아타운 추진에 대한 주민 동의율이 50~71%로 높다는 점을 고려해 대상지로 선정했다.
강서구 화곡동 98-88(면적 5만3298㎡) 노후한 단독주택·다가구 주택이 73%, 반지하 주택이 69%였다. 진입 도로 확보 관련 사전 절차를 이행한 후 관리계획 수립을 추진토록 조건이 부여됐다.
강북구 수유동 141(면적 7만3865㎡)은 낡은 단독주택·다가구주택이 약 74%, 반지하 주택이 약 59%였다. 진입 도로 확보를 위한 동의 여부를 재조사해 구역계 적정성 등을 검토한 후 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
강북구 번동 469(면적 9만9462㎡)는 노후 단독주택·다가구 주택이 81%, 반지하 주택이 73%였다. 모아타운 1호 시범사업지 인근에 있어 광역적인 정비 기반 시설 확보가 가능한 첫 모범 사례가 될 예정이다.
강북구 수유동 31-10(면적 6만5961㎡)은 노후 단독주택·다가구 주택이 77%, 반지하 주택이 72%였다. 해당 지역은 인접 모아타운 추진 경과를 고려해 순차적으로 관리계획 수립을 추진할 수 있도록 조건이 부여됐다.
선정된 5곳은 모아타운 관리계획 수립 용역비(전체 용역비의 70%)를 자치구에 교부하고 관리계획 수립이 완료되면 모아타운으로 지정해 용도지역 상향 등 완화 혜택을 받아 개별 모아주택사업(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시행될 예정이다.
이로써 2022년부터 시작됐던 모아타운 대상지 자치구 공모는 이번 위원회를 끝으로 종료됐다. 향후 모아타운 추진을 원하는 지역은 토지등소유자의 60% 및 토지면적 2분의 1 이상 주민 동의율을 확보해 모아타운 주민제안 방식으로 추진이 가능하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실장은 "모아타운 사업으로 노후된 저층 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과 양질의 주택공급을 위해 적극 지원하고, 반면 주민 갈등으로 사업추진이 어려운 곳은 철회·해제 등을 통해 갈등을 해소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모아타운 사업은 자치구 공모 방식에서 주민제안 방식으로 전환해 사업을 이어가고, 선정된 지역은 신속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이 진행되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호진 기자 hoo1006@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