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송전탑 한계 벗어나 철도·도로 교통망 활용 네트워크형 설비 통합개발 추진해야"
교통망을 활용한 네트워크형 설비 통합 설치 개념도. /한전 제공
교통망을 활용한 네트워크형 설비 통합 설치 개념도. /한전 제공

[한스경제=신홍관 기자] 고압 송전철탑 위주의 전력망 구축방식의 한계를 벗어나 철도와 도로 등 교통망을 활용한 네트워크형 송전설비 통합개발 방안을 한전 감사원이 제시했다. 

한전 감사실은 기존 송전철탑을 활용한 전력망 건설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외 에너지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전력망 구축 방안을 마련해 지난 12일 한전 본사에서 발표회를 가졌다.

한전 감사원이 지난해 4월부터 자체 연구를 진행해 종합한 이 방안은 이날 한전 서울본사에서 전력망 건설을 책임지는 한전 전력계통부사장 및 관련 처·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발표됐다.

한전 감사원은 1년 8개월에 걸친 연구 끝에 국가 에너지 안보 강화와 국토 및 국가 예산의 효율적 활용, 사회적 수용성 향상을 위한 미래형 국가 전력망 구현 방안이라며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에너지 안보, 주민 수용성 악화, 환경파괴 등 현재의 장애요인을 분석, 송전철탑을 활용한 전력망 건설 방식이 한계가 있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한전 감사원은 지적했다. 이에 따라 사업의 시급성 등을 고려해 현재 추진 중인 전력망 건설사업은 우선적으로 철도 보호지구, 도로 갓길을 활용한 육상 시공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감사실은 "이는 국가 백년대계를 내다보며 궁극적으로 철도와 도로 등 교통망을 활용해 네트워크형 설비로 통합 개발하고 이를 위한 공동구도 선제적으로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이라고 설명했다.

전영상 한전 상임감사위원은 "국가 미래 성장을 위해 전력망 적기 건설이 더욱 중요해진 시기에 이번 연구 결과가 11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에 반영돼 보다 안전하고 바람직한 전력망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전 감사실은 지난해 3월 전영상 상임감사위원 취임한 후 3주 만에 56조5000억 원 규모의 10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안에 대한 감사를 시작으로 전력망 확충 방안 구상에 들어갔다.

이후 전문가 자문 및 감사실 토론회 등을 통해 논의를 이어 나가고, 감사실 자체 스터디팀을 구성 연구를 착수했다.

연구 과정에서 전력계통 및 안보 전문가를 포함한 감사자문위원회의 자문을 받고, 에너지 정책 변화로 인한 전력망 건설 수요 증가의 해결 방안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해 조언을 구했다.

또한 에너지 정책의 전문성과 합리성 강화를 위해 에너지, 안보 등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에너지 정책·과학 포럼’을 발족하기도 했다. 

이들은 4차례 포럼과 1차례의 국회 토론회를 통해 EMP(전자기 펄스파) 위협에 대비한 전력설비 방호대책, 철도와 도로망을 활용한 새로운 송전선로 건설 방향 등 에너지 정책 수립을 위한 주제를 놓고 열띤 토론을 벌아기도 했다.

신홍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