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대, 이행성 척추로 인한 의료기관 방문 최다
주된 통증 유형, ‘요통’과 ‘하지방사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기형적 척추로 인한 허리통증이 나타나는 현상인 베르톨로티 증후군을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조소현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한의사 연구팀은 ‘베르톨로티 증후군으로 인한 요통 환자의 증례보고와 인구역학적 분석 결과’를 논문을 통해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메디슨(Medicine (IF=1.6))’에 게재됐다.
정상적인 요추뼈는 5개지만, 간혹 선천적으로 척추뼈의 개수가 다르거나 구조가 비정상적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척추의 기형을 ‘이행성 척추’라고 한다. 요추(허리뼈)가 비대해져 천추(엉치뼈)와 붙어 척추뼈가 4개로 줄어드는 ‘천추화’ 혹은 천추의 일부가 분리돼 척추뼈가 6개로 늘어나는 ‘요추화’로 구분된다.
이행성 척추는 척추가 받는 압력과 부담이 달라지면서 척추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척추의 피로도를 쉽게 높이고 척추관협착증과 같은 퇴행성 척추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허리통증, 하지방사통 등이 나타나는 현상을 ‘베르톨로티 증후군(Bertolotti Syndrome)’이라고 한다.
베르톨로티 증후군은 전 세계 인구의 약 4~8%에게서 나타나 비교적 발생률이 낮지만, X-Ray나 MRI 등 영상 진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부 증상에 따라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로 나뉘어 치료가 진행된다.
수술적 치료로는 절제술, 감압과 유합술 등이 있으며, 비수술적 치료는 물리치료, 진통제, 스테로이드 주사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수술 과정이 일반 척추질환 환자에 비해 복잡하고 부작용의 위험이 있어 보존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다만 발병률이 낮은 만큼 보존적 치료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연구팀은 MRI상 베르톨로티 증후군을 진단받은 30대 초반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한달 여간 치료를 진행했고, 입원치료 후 5개월 간의 장기추적관찰을 통해 증상 변화를 살폈다.
환자에게는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키는 침·약침 치료, 신경을 비롯한 척추 주변 조직을 강화하는 한약 처방 등 한의통합치료가 진행됐다. 또한 특정 혈자리에 침을 놓고 움직임을 유도하는 동작침법(MSAT)과 한의사가 척추·관절의 균형을 맞추는 추나요법 치료도 이뤄졌다.
치료 결과, 입원 10일차부터 요통과 방사통의 통증숫자평가척도(NRS; 0~10)와 허리기능장애(ODI; 0~100) 점수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입원 시점 하지방사통 NRS는 중등도 수준인 5점에서 퇴원 시 2점으로 절반 이상 감소했고, ODI는 약 58점에서 40점으로 개선됐다.
또한 삶의 질 상승과 함께 근력 회복 및 요추와 고관절 가동 범위가 증가해 요·천추부의 기능이 크게 향상됐다. 이러한 호전세는 5개월 뒤 추적관찰에서도 유지됐다.
아울러 연구팀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자생한방병원(강남·대전·부천·해운대)에 내원한 이행성 척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구역학적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남성 환자에게는 천추화, 여성 환자에게는 요추화가 발견됐고, 이로 인해 의료기관을 찾는 환자는 40~50대가 가장 많았다. 호발하는 통증 유형은 ‘요통(47%)’과 ‘방사통을 동반한 요통(41%)’이었다. 전체 환자의 수술 경험률은 4%에 불과해 대부분의 이행성 척추질환 환자가 수술을 받지 않고 비수술적 방법을 선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조소현 한의사는 “이번 연구가 한의치료를 경험하는 이행성 척추 환자들의 역학적 특징을 분석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며 “연구를 통해 베르톨로티 증후군에 대한 한의통합치료 효과가 입증된바, 향후 대규모 후속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치료 선택지가 더 넓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자생한방병원, 베트남 낙후지역 경제 지원…"대학생에 암소 기부"
- 자생한방병원-청주 상당구청, 의료지원 업무협약 체결
- 자생한방병원, ‘제12회 희망드림 자선바자회’ 성료…"청소년 교육 지원"
- 자생한방병원, 무릎관절염 한의통합치료 효과 분석…"약침 만족도 높아"
- 자생한방병원, 청소년 한의사 직업체험 프로그램 진행
- 심평원 “자생한방 특혜? 약침 안전 위한 최선 선택”
- 분당자생한방병원, 7년간 지역 의료 봉사…"어르신 1450여명 진료"
- 자생한방병원, 해외 의료진 대상 한의학 임상연수 진행
- "지역사회에 온정을"…자생한방병원, ‘사랑의 김장김치 나누기’ 행사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