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P로 밀도·가격 경쟁 우위 추진…고전압 미드니켈 조성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3분기 매출이 작년보다 16.4%, 영업이익은 38.7% 감소했다. 하지만 직전 분기에 비해 매출은 11.6%, 영업이익은 129.5% 증가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8일 기업설명회를 열고 올해 3분기 매출 6조8778억원, 영업이익 4483억원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작년 3분기 매출은 8조2235억원, 영업이익은 7312억원이었다.
3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미국 IRA(인플레이션감축법) AMPC(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 금액은 4660억원이다. 이를 제외한 3분기 영업손실은 177억원이다.
회사 측은 “AMPC를 제외한 적자는 전분기 2525억원 대비 대폭 축소됐다”며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출하량 증가에 따른 가동률 개선, 메탈가격 안정화로 인한 원가 부담 감소 등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시장 성장세 둔화에 고객,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 ESS를 비롯한 비(非)전기차 사업 비중 확대 등으로 수익성 증대에 나서고 있다. 최근에는 독일 벤츠와 2028년부터 10년간 총 50.5GWh(기가와트시) 규모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기 위한 계약을 맺었다. 미국 포드와도 총 109GWh 규모 전기 상용차 배터리 셀·모듈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원통형 제품군 내 스타트업 중심의 EV 고객 포트폴리오를 전통 완성차 업체로 확대했다”며 “미국 현지 생산을 통해 공급하기로 함으로써 북미 지역 차세대 EV 시장 수요에 직접 대응이 가능한 선도업체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시장 주요 트렌드로 EV 시장 세분화에 따른 다양한 제품 수요 증가, 전기차 핵심 부품에 대한 비용 절감 필요성 확대, 전기차 안전성 중요성 부각 등을 꼽고 있다. 이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고객 요청에 최적화된 제품 솔루션을 지속 개발해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고전압 미드니켈(Mid-Ni) 조성을 통해 표준형(Standard) 수요에 대응하고, 중저가형(Affordable) 시장에서는 CTP(Cell to Pack) 적용 LFP(리튬인산철) 제품으로 에너지 밀도, 가격 면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한다. 46-시리즈 등 신규 폼팩터 양산도 안정적으로 전개해 나간다.
배터리 가격, 효율성 측면에서는 수명과 안전성이 높은 단입자 양극재, 충전속도를 혁신적으로 높이는 실리콘(Si) 음극재 적용을 확대해 나간다. 건식전극 공정은 2028년 본격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안전성 측면에서 파우치 제품은 내부의 열을 빠르게 배출하는 설계 기술과 면 냉각 구조를 개발 중에 있다”며 “신규 원통형 폼팩터에 최적화된 쿨링 모듈 구조도 자체적으로 개발 완료해 안전성을 보강한 솔루션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또 중국에서 양산 중인 LFP ESS 셀을 2025년 내 에너지 밀도를 20% 이상 개선할 계획이다. ESS 통합 시스템 솔루션에 고도화된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고객 가치를 더욱 차별화할 계획이다. 나아가 2025년 내 ESS 미국 양산 추진을 통해 북미 시장 내 선도적 지위를 확보하고, 유럽시장에서는 기존 EV 생산 라인의 ESS 라인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다양한 대외 변수에도 흔들림 없는 사업구조를 갖추기 위해 능동적 운영 효율화, R&D투자 강화,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등 중장기 전략 과제도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 CEO 김동명 사장은 “어느 때 보다 급격한 대외 환경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지만, 치밀한 전략을 통해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압도적인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고객가치를 높여 글로벌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우뚝 설 것”이라고 말했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