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매출 42조9283억·영업이익 3조5809억...전년 동기 대비 영업익 6.5%↓
현대차 사옥 사진=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한스경제=최창민 기자] 현대자동차가 3분기 견조한 매출액 성장세를 이어갔다. 글로벌 시장 판매량이 소폭 감소했지만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등 믹스 개선, 하이브리드 판매량 증가세 등의 덕을 봤다. 영업이익은 충당금 반영으로 소폭 감소했다.

현대차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실적이 매출액 42조9283억원, 영업이익 3조5809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7% 늘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5%%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3조2059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3.0% 감소했다. 도매 판매는 101만1808대를 나타냈다. 영업이익률은 8.3%다.

이로써 현대차는 3분기 △판매 307만5742대(도매) △매출액 128조6075억원 △영업이익 11조4174억원 등의 누적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3분기 매출은 선진 시장과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 판매 호조에 따른 믹스 개선과 가격 인상, 우호적인 환율 등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3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3.7% 상승한 1359.4원이다.

매출 원가율은 북미, 유럽 지역 인센티브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포인트 상승한 80.2%를 나타냈다.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율은 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0.2%포인트 오른 11.5%로 집계됐다. 아울러 북미 그랜드 싼타페에 대한 선제적인 보증 연장 조치로 약 3200억원의 충당부채 전입액이 발생했다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3분기 글로벌 도매 판매는 101만1808대로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했다.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성장률 둔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로 글로벌 산업 수요가 역성장세를 이어간 탓이다.

국내 시장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16만9901대를 나타냈다. 공장 하계 휴가와 추석 연휴 물량 감소에도 신형 싼타페 하이브리드를 필두로 SUV와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가 확대됐다.

해외 시장 판매는 북미와 중국·유럽이 갈렸다. 북미 지역은 신형 싼타페, 투싼 페이스리프트 등의 인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한 30만319대를 기록했으나 중국과 유럽 지역은 수요 감소로 4.2% 하락한 84만1907대가 팔렸다.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5% 증가한 20만1849대로 집계됐다.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와 북미 지역 투싼 하이브리드 판매 확대가 호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현대차 관계자는 “매출액은 하이브리드, 제네시스를 포함한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 판매 확대에 따른 평균판매단가(ASP) 개선 및 우호적인 환율 환경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면서도 “영업이익은 북미 지역에서의 선제적 보증 연장 조치에 따른 충당금이 반영돼 전년 동기비 소폭 감소했으나 이를 제외하면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산업 수요 감소로 주요 완성차 업체들 간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현대차는 꾸준한 체질 개선 노력으로 견고한 기초체력을 갖춰 대응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치밀한 내부 진단 및 과감한 혁신으로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창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