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호진 기자] 현대건설 지난 21일 서울 종로구 계동 본사에서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州) 정부와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및 주택 사업 분야 협력에 관한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업무협약식은 최영 현대건설 뉴에너지 사업부장과 조 삭아치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무역투자장관을 비롯한 양측의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인프라 개발 및 신성장 사업 협력 확대를 위해 주정부 관계자와 민간 기업 대표 등 경제사절단의 방한을 계기로 이뤄졌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는 지난해 사용전력의 74%를 신재생에너지로 생산 중이며 오는 2027년 탄소중립, 2030년 신재생에너지 비중 100%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수소 프로젝트에 대한 규제 절차를 간소화하는 수소 및 재생에너지 법안을 발표했고 210억 호주달러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계획·추진 중이다.
현대건설은 이번 파트너십을 토대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정부와 수소, 태양광, 해상풍력, 전력망 등 차세대 에너지 사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설계, 시공, 금융조달, 투자, 운영관리 등 사업 전반의 영역에서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인구 증가로 교통망, 전력망, 학교, 병원 등 기반시설 공급과 주택 보급률 제고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인프라는 물론 주택 개발 및 시공 분야에서도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글로벌 민관 협력의 강력한 시너지를 창출해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동반 성장의 기틀을 마련할 것"이라며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주정부와의 상호 협력이 호주 에너지 인프라 혁신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호진 기자 hoo1006@sporbiz.co.kr
관련기사
- 고려아연 “영풍‧MBK의 시장교란 행위, 반드시 책임 물을 것”
- 두산, '밥캣'을 로보틱스 자회사로 재추진..."사업 시너지 극대화"
- “중국 중심 반도체 공급망 여전”...재편에 상당시간 소요 전망
- LNG선 과잉공급 경고등...K-조선, 암모니아로 신시장 ‘선점’
- 공공건물 전기차 충전시설, 앞으로 지상에 설치된다
- 국토부,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 대비 취약 시설물 안전관리 강화
- 롯데건설, '청담 르엘' 전세대 계약 완료…1순위 경쟁률 667대 1
- 연이은 대출 규제에 2금융권 몰린다…집값 상승폭도 축소
- 현대건설, 단지내 이동 제약 없는 자율주행 로봇배송 시범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