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시중에 풀린 돈이 15개월 연속 증가했다. 금리 고점 인식에 투자금이 정기 예·적금으로 몰린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4년 8월 통화 및 유동성'애 따르면, 지난 8월 광의통화(M2) 평균 잔액은 4062조6000억원으로 7월 대비 7조6000억원(0.2%)이 증가했다. 지난해 6월부터 15개월째 오름세다.
M2는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의미하는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만기 2년 미만의 예·적금 및 금융채, 시장형 상품과 실적배당형 상품 등을 모두 포함한 통화지표를 뜻한다. 이는 주로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금융상품별로 정기예적금이 7월보다 무려 11조5000억원이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예대율 관리를 위한 은행의 자금 유치 노력과 함께 금리 고점 인식에 따른 예치 수요가 맞물린 결과로 분석했다.
7월 기타 통화성 상품은 지난달보다 3조8000억원이 증가했다. 수출 호조와 증시 변동성 확대에 따른 투자 대기성자금 증가 영향으로 외화예수금과 CMA(종합자산관리계좌)를 중심으로 늘어났다.
반면 머니마켓펀드(MMF)는 4조6000억원 감소했으며 금융채도 2조5000억원이 줄었다. 경제주체별로는 기타금융기관(+6조 3000억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5조 1000억원) 등이 증가했으나 기타부문(-2조원) 및 기업(5000억원)은 감소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만 포괄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M1)은 1217조8000억원으로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등을 중심으로 지난달 대비 0.1% 증가 전환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관련기사
- 하나은행, '자산관리 명가' 증명…신탁·펀드·연금 '압도적 1위'
- KB금융, 체계적 상생금융 박차…소상공인 연구센터 신설
- 확대되는 AI 금융 리스크…'거버넌스·데이터·기술'이 관건
- NH농협은행, '금융권 최초' 바이오항공권 서비스 오픈
- [신한은행 정상혁號 순항] ⑤ 친환경 경영 박차…녹색금융·탄소감축 '총력'
- 신한은행, 中교통은행과 중국 QR 결제 서비스 도입 추진
- iM뱅크, KTcs와 금융소외계층 금융접근성 강화 '맞손'
- 8월, 은행 대출 연체율 0.53%…69개월 만에 최고치
- 하나금융, 영덕하나어린이집 개원…100호 프로젝트 마무리 앞둬
- 케이뱅크, '인뱅 최초' 부패방지·규범준수 국제표준 인증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