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 직원들이 프레스 금형 자동설계 시스템으로 제작된 금형을 확인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직원들이 프레스 금형 자동설계 시스템으로 제작된 금형을 확인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한스경제=최창민 기자] 현대자동차·기아는 차량용 프레스 금형 설계를 자동화하는 ‘프레스 금형 자동설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프레스 금형은 자동차의 외판을 생산할 때 사용하는 도구다. 차량의 트렁크, 후드, 휀더 등의 제작에 활용한다. 구조에 따라 하나의 외판 부품에 총 3~5번의 프레스 공정을 거친다. 각 공정에는 각기 다른 금형을 활용한다.

각각의 금형은 수많은 부품이 삽입된 복잡한 구조로 구성된다. 또 차량 디자인 변경 범위나 생산 현장의 요구 조건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복잡한 설계 과정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금형 설계자가 수백가지 요구 사항을 분석해 각 외판 부품의 금형을 개별 단위로 설계했다. 설계자별 해석이 상이하면 설계의 수정과 확인을 반복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현대차·기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형 설계를 위한 기술 문서와 설계 조건 등의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산별적으로 진행되던 금형 설계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금형 설계자는 자동설계 시스템이 안내하는 프로세스에 따라 단계별로 필요 수치만 입력하면 최적의 프레스 금형의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자동설계 시스템을 활용하면 프레스 금형 설계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은 약 75% 이상 단축할 수 있다. 또 설계 오류 발생을 원천 차단해 일관된 고품질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

아울러 △부품 △제조사 △생산방식 △생산공장 등에 따른 옵션 설정도 제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생산 환경에도 적기에 대응할 수 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수십년간 쌓아온 노하우의 데이터화를 통해 구현한 독보적인 시스템”이라며 “고품질의 차량 생산을 위해 보다 다양한 공정으로 확대하고 제조 생태계 전반의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창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