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기준금리 인하 속도 적절하다고 판단…효과는 1년 지나야"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기준금리 인하가 경기 부양에 만병통치약은 아니며 구조적 요인을 함께 봐야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14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금리 인하로 모든 경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재정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라는 말에 "기준금리 인하가 만병통치약이 아니라는 것은 사실이다"며, "금리 인하도 분명히 역할을 하지만 여러 구조적인 요인도 같이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하며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여러 구조조정 페이퍼가 그런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리인하로 민간소비가 촉진될 것으로 기대하나'라는 질문에 "한 차례로는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다"며, "피벗(통화정책 전환)을 했기에 앞으로 몇 차례 어떤 속도로 하느냐에 따라 내수 진작 효과가 다를 것이다"고 답했다.
이어서 금리인하 영향에 대해서는 "1년 정도 지난 다음에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 속도에 대해서는 “금통위 내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7월부터 고민하고 있었다”며, "적절한 속도로 조절하고 있다고 보고, 앞으로 금융시장 변화를 보고 속도를 조정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관련기사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