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모바일기기 이용 지급규모 일평균 1.5조원 
df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지급 비중이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지갑 없는 사회가 현실화되고 있다.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지급 비중이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중 국내 지급결제동향'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중 비대면 지급 이용 규모는 일평균 1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가 증가한 반면, 대면 지급은 일평균 1조7000억원으로 1.0%가 감소했다. 

비대면 지급은 모바일기기(스마트폰), PC 등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 등의 비대면거래뿐 아니라, 택시호출 앱을 통한 자동지급 등 모바일기기를 통해 거래 현장에서 단말기 접촉 없이 이루어지는 지급도 포함한다. 

전체 이용규모 중 비대면지급이 차지하는 비중은 40.6%로 2022년 하반기(38.8%) 이후 증가세가 지속하고 있다. 

접근 기기별로 보면, 실물카드를 제외하고 모바일기기 등을 이용한 지급 규모는 일평균 1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1%가 증가한 반면, 실물카드를 이용한 지급 규모는 일평균 1조4000억원으로 3.4%가 감소했다. 

전체 이용규모 중 모바일기기 등을 이용한 지급 비중은 52.1%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모바일기기 등(실물카드 제외)을 이용한 지급규모중 간편지급 서비스(카드기반 기준)를 이용하는 비중은 높은 편의성을 바탕으로 50.7%로 집계됐다.

간편지급 서비스 중 핀테크기업(ICT업체·휴대폰제조사)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한 비중은 69.0%로 확대된 반면, 카드사이용 비중은 31.0%로 축소됐다. 

한편 상반기 중 지급카드 일평균 이용규모는 3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3조 3000억원) 대비 3.9%가 증가했다. 신용카드(+4.1%)와 체크카드(+3.2%) 모두 증가했다. 

어음‧수표의 일평균 이용액은 15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자어음을 중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5조원) 대비 6.2%가 증가했다. 

소액결제망을 통한 계좌이체 규모는 일평균 99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2조원) 대비 8.6%가 증가했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