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인베스터데이서 미래 모빌리티 전략 발표…2030년 글로벌 판매 555만대 목표
현대 다이내믹 캐파빌리티·모빌리티 게임체인저·에너지 모빌라이저 등 3대 전략 제시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는 장재훈 사장 / 연합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는 장재훈 사장 / 연합

[한스경제=박정현 기자] 현대차가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두를 선점하기 위해 향후 10년간 120조원이 넘는 투자를 단행한다. 제네시스를 포함해 2030년 연간 글로벌 판매량 555만대를 목표로 잡고, 글로벌 사업장에 생산 시설을 계속 확장해 추가로 100만대 생산능력을 구축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2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등을 대상으로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현대차의 새로운 중장기 전략 '현대 웨이'(Hyundai Way)'를 발표했다

현대 웨이는 시장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한 '현대 다이내믹 캐파빌리티', 다양한 모빌리티 사업 확장을 위한 '모빌리티 게임체인저', 수소 사회 전환에 대비하기 위한 '에너지 모빌라이저' 등 3대 전략을 골자로 한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120조5000억원을 투자한다.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했던 10년간(2023∼2032년) 투자액 109조4000억원과 비교해 10.1% 늘어났다.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는 장재훈 사장 / 연합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는 장재훈 사장 / 연합

'현대 다이내믹 캐파빌리티'는 친환경 추세에 맞춰 에너지 사업자의 역할을 강화한다. 전기차 모델은 2030년 200만대를 판매해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36%를 채우고, 하이브리드 모델은 2028년까지 133만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하이브리드는 기존 7차종에서 14차종으로 폭을 늘린다. 준중형과 중형 차량 중심으로 적용됐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소형, 대형, 럭셔리 차급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제네시스의 경우 전기차 전용 모델을 제외한 모든 차종에 하이브리드 옵션을 제공하기로 했다.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장점을 각각 적용한 'EREV'도 선보인다. 이 차는 전기차와 같이 전력으로 구동하나 엔진이 전기를 생산해 배터리 충전을 지원한다. 완충시 수소차보다 더 긴 900km의 주행거리를 지원할 수 있다. EREV는 2026년 말 북미와 중국에서 양산을 시작해 2027년 판매에 들어갈 계획이다.

현대차는 내연기관차,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전기차 등 유일하게 배터리 시스템 전 라인업을 확보한 기업답게 배터리 역량 강화에도 힘쓴다. 2030년까지 보급형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신규 개발해 배터리 셀 경쟁력을 높이고,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기술을 발전시켜 배터리 안전 기술을 고도화한다.

발표하는 호세 무뇨스 COO / 연합
발표하는 호세 무뇨스 COO / 연합

현대차는 자율주행차·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개발 및 모빌리티 신사업을 통한 '모빌리티 게임체인저'도 노린다. 자율주행 기술을 계속 고도화하며 관련 데이터를 수집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AI 모델을 학습하는 체계를 마련해나가겠다는 것이다.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이 수소로 전환되는 시기에 맞춰 수소 사업 부문을 강화하는 '에너지 모빌라이저' 구상도 공개했다. HMGMA에 친환경 물류체계를 올해 말까지 도입하고, HMGMA를 중심으로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러한 중장기 계획과 사업 확대에 현대차가 쏟는 금액은 10년간 120조5000억원에 이른다. 구체적으로는 연구개발(R&D) 투자 54조5000억원, 설비투자(CAPEX) 51조6000억원, 전략투자 14조4000억원이다. 동시에 현대차는 2030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 10% 이상을 달성하는 중장기 재무 전략도 공개했다.

박정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