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44호의 대용량 고객을 모집, 동·서해안 발전제약 완화 기여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한국전력이 '고객참여 부하차단 제도' 도입 이후 현재까지 44호(650MW)의 고객을 확보했다고 26일 밝혔다. 본격적인 제도 운영으로 광역정전 예방 및 발전제약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고객참여 부하차단 제도'는 전력계통 고장 시 주파수 하락 등 불안정한 계통을 신속하게 회복시키기 위해 한전과 사전 계약된 고객의 부하를 즉시 차단, 계통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도다.
제도 가입 고객의 주요 업종은 제지·철강·이차전지 등이다. 특히 제지 업종의 제도 가입률이 약 82%로, 정전 시 피해규모가 비교적 적어 타 업종 대비 상대적으로 높았다.
가입 대상은 154kV(킬로볼트) 이하 전용선로 이용 대용량 고객으로, 부하차단 시 지급하는 동작보상금 규모가 크고 차단 지속시간이 약 10분 정도로 짧은 점이 고객에게 유인책으로 작용한다.
보상방안으로는 계약기간(1년) 내 감축기준용량(직전년도 월 평균 부하량, 최대·최소 2개월 제외)에 따라 연 1회 지급하는 운영보상금(1kW 당 1320원-1년)과 실제 부하차단 시 감축실적용량(실제 차단 당시 부하량)에 따라 지급하는 동작보상금(1kW당 9만8400원1회)이 있다.
한전 측은 "현재 다수의 고객들이 추가로 제도 가입을 검토하고 있다"며 "안전, 환경, 고객 부하특성 등 계통 기여도를 고려해 본 제도에 적합한 고객과 계약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라진 기자 jiny3410@sporbiz.co.kr
관련기사
정라진 기자
jiny341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