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뇌기능 유지에 도움"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서울아산병원이 인공와우 이식을 받은 성인들에게서 청각기능뿐 아니라 뇌의 청각 중추가 회복된 모습이 세계 최초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인공와우 이식은 보청기로도 효과가 없는 고도난청 환자들을 위해 달팽이관 안에 전극을 삽입해 소리를 듣게 해주는 치료법이다.
박홍주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은 후천적 청각장애로 한쪽 귀에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받은 성인 16명을 대상으로 이식 1년 후 뇌 자가공명영상(MRI)을 분석했다. 그 결과 청각을 관장하는 대뇌피질의 부피가 이식 전과 비교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과거 선행연구를 통해 고도난청 환자들에게서 청각과 언어 인지를 담당하는 뇌 상부 측두엽 등 많은 부위에서 대뇌피질의 부피가 감소돼 있는 사실을 보고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인공와우 이식 후 뇌의 구조적 변화를 장기간 추적한 최초의 연구로, 인공와우로 청각기능이 향상되면서 위축돼 있던 대뇌피질이 회복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향후 난청인구가 늘어나는 고령화 사회에서 인공와우를 통한 적극적인 난청치료가 대뇌기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인공와우 수술 전후의 대뇌피질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소리를 직접적으로 듣는 청각피질을 포함한 대뇌피질의 부피가 증가했다. 대뇌피질이 회복된 정도가 청각기능이 회복된 정도와 강한 연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뇌 상측 측두이랑의 부피 증가가 수술 후 단어 인식능력의 호전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점을 확인했는데, 이는 청각능력의 향상이 뇌 청각 중추 구조의 회복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는 설명이다.
박홍주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후천적 청각 상실을 겪은 성인이 인공와우 이식을 통해 잘 들을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뇌의 청각 관련 대뇌피질의 부피가 회복될 수 있음을 대뇌 MR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나이가 들어 청력이 떨어지면 단어 인식능력도 저하돼 의사소통에 장애가 발생하기 쉽다"며 "난청은 장기적으로는 치매로 이어질 수 있어 난청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느낀다면 보청기를 일차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보청기로 충분한 의사소통이 어려울 경우 인공와우 이식을 통해 적극적으로 난청을 치료할 것을 추천한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결과는 네이처(Nature)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피인용지수 3.8)’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서울아산병원 "응급실 의료진, 매달 한사랑장애영아원서 봉사"
-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교수, '저속노화 식사법' 출간
- 서울아산병원, 로봇 이용 흉부 접근 기관 절개·재건술 국내 첫 성공
- 서울아산병원 태아치료센터, ‘태아내시경’ 진료 300례 달성…"쌍둥이 수혈증후군 치료"
- 서울아산병원 "3D프린팅 도입 10년…진료·연구·교육에서 진전"
- 서울아산병원 "심폐소생술시 에크모 조기 시행해야 생존 확률 높아"
- 서울아산병원, 전립선암 치료에 방사성의약품 도입
- 서울아산병원, 심장 스텐트 환자…"다른 수술 때 아스피린 복용 중단해도 안전"
- 김성훈 서울아산병원 교수팀, 2년 연속 글로벌 의료 인공지능 대회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