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국유단, 美 버지니아주서 DPAA 주관 초청행사 참석
이근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가운데)이 16일(현지시각)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고(故) 노만 네이헤이셀 미 육군 일병의 유가족을 만나 고인의 유품(팔찌형 인식표)을 전달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이근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가운데)이 16일(현지시각)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고(故) 노만 네이헤이셀 미 육군 일병의 유가족을 만나 고인의 유품(팔찌형 인식표)을 전달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한스경제=김정연 기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이 올해 5월 경기 연천 진명산에서 발굴된 미국 6·25참전용사의 유품을 가족에게 전달했다.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유단은 16일(현지시각) 미국 버지니아주의 한 식당에서 고(故) 노만 네이헤이셀 미 육군 일병의 유가족을 만나 그의 이름이 적힌 팔찌형 인식표를 전달했다.

국유단은 인식표를 찾아냈을 당시 유해도 발굴했으며, 현재 유해의 신원 확인을 위해 유전자 검사 중이다.

노만 일병의 조카 다니엘 네이헤이셀 씨는 “어린 시절부터 삼촌의 이야기를 들으며 자랐고, 삼촌의 희생과 헌신을 항상 기억하고 있다”며 “이 유품은 우리 가족에게 소중한 유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유단은 지난 15일(현지시각) 미국 버지니아주 르네상스 호텔에서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 주관으로 열린 6·25전쟁 참전 유가족 초청행사에서 한국 내 미군 유해발굴 사업의 경과를 설명했다.

국유단에 따르면 미수습된 6·25전쟁 미군 전사자는 7500명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총 26구의 미군 전사자 유해가 발굴됐고, 이 중 11명의 신원이 확인돼 유가족에게 전달됐다.

김정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