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신연수 기자] 아마존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서는 삼림 벌채 차단만큼이나 화재 예방과 개간 행위 제한 등이 시급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6일(현지시간)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과 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학 연구진은 아마존 삼림 벌채의 인위적·자연적 교란에 따른 대규모 탄소 손실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과학 저널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고 로이터통신과 브라질 매체 G1이 보도했다.
해당 논문에서 연구팀은 아마존 열대 우림 중 54만4300㎢ 면적의 연구 대상 지역을 라이다 기반 통계로 추정한 결과 화재, 개간, 벌목 순으로 탄소 손실이 큰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강풍 및 기타 교란으로 인한 산림 훼손에 따른 탄소 손실도 적지 않았는데, 이는 자연적인 산림 성장으로 부분 상쇄된 것으로 조사됐다.
아마존 지역 항공 레이저 스캐닝에서 얻은 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인간이 초래한 산림 파괴와 가뭄 등에 따른 화재, 자연 교란이 전체 탄소 배출량의 83%를 차지하는 반면, 삼림 벌채의 경우 17%에 불과했다.
AP통신은 최근 아마존을 '불바다'처럼 만든 극심한 가뭄 이후 발생한 화재로 인한 산림 피해를 강조하는 연구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브라질 국립우주연구소(INEP)는 아마조나스주를 비롯한 브라질 아마존 열대우림 지역에서 올해 2월에만 2940건의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는 1999년부터 관련 데이터를 축적한 이래 2월 기준 가장 높은 수치라고 INEP는 설명했다.
건기에 해당하는 지난해 10월에는 아마존 중심부를 흐르는 강이 1902년 정식 측정 이래 3번째로 낮은 수위를 기록할 만큼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기도 했다. 당시 브라질 아마조나스주 정부는 62개 지방자치단체 중 60곳에 가뭄 비상사태 혹은 그에 준하는 경보를 내린 바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웨이크포레스트대학의 오비디우 실릭은 "브라질 지역 산림 황폐화에 대한 전례 없는 수준의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논문"이라고 설명했다.
육상생물의 10% 이상 서식하는 아마존은 지구가 15~20년간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남미 전역에 비를 뿌리는 등 지구 생태계와 기후에 중요한 역할을 해 '지구의 허파'라고 불린다.
전문가들은 '삼림 벌채 차단 올인' 위주의 정책에 변화를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국 생태학자인 에리카 베렌거는 "브라질 정부는 삼림 벌채를 줄이면 산림 파괴도 줄일 수 있다고 하지만, 이는 과학적으로 틀린 말"이라며 "이번 논문에서도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