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2개 시군구, 143개 의료기관서 진행
서비스 종류 선택할 수 있어
병원 관련 이미지./ 연합뉴스 제공
병원 관련 이미지./ 연합뉴스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치매 환자가 거주하는 곳에서 환자별 맞춤형 종합관리를 받을 수 있는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시범사업)'이 23일부터 실시된다.

보건복지부는 이날부터 치매 진단을 받은 외래 진료 이용자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시범사업에서는 치매환자가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치매관리주치의에게 치매부터 전반적인 건강문제까지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치매관리주치의는 신경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거나 복지부에서 주관하는 치매전문교육을 이수한 의사다. 환자 상태를 포괄적으로 평가해 환자별로 맞춤형 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주기적인 대면 교육·상담, 비대면 관리, 방문진료 등을 제공해 치매 관련 다른 의료·복지 서비스를 안내·연계한다.

시범사업을 신청하려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중앙치매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대상 지역과 참여 의료기관을 확인 후, 방문해 의사에게 해당 서비스를 신청하면 된다. 시범사업 대상 지역 내에 살지 않아도 서비스를 신청·이용할 수 있다.

시범사업은 이번 1차 연도에는 2년간 시행될 계획이며 올해는 22개 시군구, 182명의 의사가 참여한다. 복지부는 2차연도에는 규모를 더 확대해 운영하고, 운영 결과 등을 바탕으로 정식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환자는 치매전문관리 서비스와 만성질환과 전반적인 건강문제 관리를 제공하는 통합관리 서비스 중에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시범사업의 서비스 비용은 진료비와 별도로 시범사업 수가(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를 적용받고, 서비스 비용의 20%가 청구된다.

임을기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치매환자가 살던 곳에서 치매뿐만 아니라 그 외 건강 문제까지 전문적이고 심층적으로 치료와 관리를 꾸준히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치매환자들과 가족들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