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018~2023년 동안 추가된 보호구역 120만㎢ 분석
"대부분 국가, 전략 없어"
비용 366조원 추정...열대지방에만 매년 47조원 필요
아마존 열대우림. / 연합뉴스.  
아마존 열대우림. / 연합뉴스.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인간 활동으로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지는 상황 속에 전세계 토지의 1.2%를 보호하면 멸종위기종 대부분을 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구체적으로 세계 1만6000여개 지역을 필수 보호 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25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과학 프론티어(Frontiers in Science)에는 보호 구역을 분석한 '보존 필수 지역:대체불가능한 생물다양성을 품고 있는 비보호지역의 확보(Conservation Imperatives: securing the last unprotected terrestrial sites harboring irreplaceable biodiversity)'라는 논문이 실렸다. 12개국 20개 기관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2018~2023년 전세계 보호구역으로 추가 지정된 120만㎢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지구에서는 공룡 멸종을 비롯해 다섯차례의 대멸종이 있었고, 현재 인류 활동 영향으로 여섯번째 대멸종이 진행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지구 온난화 등으로 가속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세계 토지의 1.2%만 보호해도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을 보호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투입될 비용은 2630억달러(약 366조원)로 추정했다. 최저 비용을 들이고도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럼에도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2022년 12월 캐나다 몬트리올의 제15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BD COP15)에서 '쿤밍-몬트리올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에 합의했다. 이번 프레임워크는 기후변화와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되는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2030년까지 지구의 30%를 보호하기 위해 23개 보존 목표가 담겼다. 

그러나 연구팀은 30%가 아닌 극히 일부만 보호해도 멸종을 막을 수 있다고 봤다. 다만 각국은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구체적 정책이 없다고 우려했다.

이번 연구 공동저자이자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대학교의 보존 생태학 전문가인 카를로스 페레스(Carlos Peres)는 "이번 연구는 보호 계획에 포함될 수 있는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닌 지역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대부분 국가는 실질적인 전략이 없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30x30' 목표(2030년까지 지구 30%를 보호하자는 목표)에 대해 "30%가 무엇을 보호해야 하는지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세부 정보들이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이 제안한 보호 구역의 너비는 미국 면적의 약 5분의 1 수준인 160만㎢다. 여기에는 전세계 1만6825개의 지역이 포함됐다. 이는 이미 일정 수준의 보호를 받고 있는 지역에서 16%가량이 추가되는 수치다. 

보호돼야 할 지역 대부분은 열대 및 아열대 습윤군 생물군이 차지했다. 국가별로는 필리핀, 브라질, 인도네시아, 마다가스카르, 콜롬비아 등이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했다. 

페레스는 "보호구역을 추가로 확보하는 데 점점 더 많은 비용이 들고 어렵다"며 "시간은 우리 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비용과 관련해서는 향후 5년간 2630억달러 규모가 투입돼야 한다고 추산했다. 특히 열대지방 보존 필수 지역에는 매년 340억달러(약 47조 3000억원)가 필요할 것으로 봤다. 이는 미국의 GDP 0.2%, 전세계 화석연료 산업에 들어가는 연간 보조금의 9%에도 미치지 못한다. 

연구진의 비용 추산치는 감당 못할 수준이 아니다. 다만 비용에는 취득 비용만 포함됐을뿐 향후 관리를 위한 유지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정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