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정부·업계 협력해 글로벌 리더·먹거리 산업으로 육성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는 19일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 전기차, 배터리 업계와 함께 ‘민·관 공동 협의체’를 출범하고, 정부와 업계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과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 한스경제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는 19일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 전기차, 배터리 업계와 함께 ‘민·관 공동 협의체’를 출범하고, 정부와 업계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과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 한스경제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정부와 전기차, 배터리 업계가 손잡고 미래 유망 산업으로 꼽히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을 키운다. 전기차와 배터리를 글로벌 리더 산업으로 이끈 데 이어 전기차 배터리 구독, 성능 진단 같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을 새로운 먹거리로 육성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는 19일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 전기차, 배터리 업계와 함께 ‘민·관 공동 협의체’를 출범하고, 정부와 업계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과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는 배터리가 전기차에 탑재된 이후부터 충전, 정비·교체, 탈거·운송, 재제조·재사용·재활용까지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각종 서비스다. 아직 관련 산업이 본격 성장하기 전으로 글로벌 전기차 보급 확산과 함께 미래 유망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민·관 공동 협의체는 업계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해결하는 상시 소통창구 역할을 해 나간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성능평가, 운송·보관 등의 공통 기준 마련, 배터리 교체, 이동형 충전 등 유망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사업 추진에서도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업계가 직접 선정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8대 유망 모델을 포함해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위해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8대 유망 모델은 △전기차 배터리 성능 진단 △배터리 구독과 교체 △탄소 크레딧 거래 △재제조 배터리 진단과 평가 △이동형 충전 △전력거래 플랫폼 △배터리 회수, 운송, 보관 △금융 등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는 19일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 전기차, 배터리 업계와 함께 ‘민·관 공동 협의체’를 출범하고, 정부와 업계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과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 한스경제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는 19일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 전기차, 배터리 업계와 함께 ‘민·관 공동 협의체’를 출범하고, 정부와 업계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과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 한스경제

이날 출범식에는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 16개 기업 대표와 임직원이 참석해 강경성 산업부 제1차관,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 임상준 환경부 차관에게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다.

박진원 LG에너지솔루션 부사장은 개선방안, 과제로 △전기차 이력관리를 위해 정부가 관련 데이터를 일괄취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법제정 △자동차 배터리 소유권 분리의 법적 근거 조기 마련 △전동화 전환 분위기 확산을 위한 공공분야 내연 이륜차 전동화 등을 제안했다.

박 부사장은 “전기차 이력관리를 위해 정부가 관련 데이터를 일괄취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을 마련하면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해 재제조 재사용 등 신사업 육성에 기여할 것”이라며 “자동차 배터리 소유권 분리의 법적 근거도 조기에 마련돼야 배터리 구독서비스 등 신규산업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 강경성 제1차관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이 최근 전기차 캐즘(수요 성장세 둔화)으로 어려움을 겪는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산업부는 유관 부처와 함께 ▵자동차-배터리 산업간 협업 촉진, ▵킬러서비스 모델의 집중 육성, ▵관련 제도 정비 등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은 “전기차와 배터리 성장세가 잠시 주춤하고 있지만 글로벌 탄소중립 트렌드에 따른 전기차 전환은 대세이자 필연”이라며 “산업부, 환경부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 전기차 배터리를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산업으로 외연을 확정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선형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