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서울만 4.3% 증가, 거래액도 7.6% 늘어…전국 부동산 거래량 3.1% 감소
부동산 경기 침체가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연말 분양 물량 확대로 미분양 물량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건설현장 모습. /한스경제 DB)
부동산 경기 침체가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연말 분양 물량 확대로 미분양 물량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건설현장 모습. /한스경제 DB)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지난 4월 전국 부동산 시장의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서울 아파트를 제외하고 소폭 하락하며 '숨고르기'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프로테크 기업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6월3일 기준)를 기반으로 전국 부동산 매매시장 동향을 분석한 결과 4월 부동산 거래량은 총 9만4585만건으로 3월(9만7642건)보다 3.1%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금액은 31조5369억원에서 4.1% 감소한 30조2426억원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거래량을 보면 △오피스텔(12.1%) △아파트(6.2%) △연립·다세대(6%) △상가·사무실(3%) △상업·업무용 빌딩(0.1%)이 감소했다.

반면 공장·창고 등(집합)(10.7%), 공장·창고 등(일반)(5.5%), 단독·다가구 주택(0.9%), 토지(0.4%) 등은 거래량이 늘어났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상업·업무용 빌딩(-34.5%)과 상가·사무실(-33.5%)이 큰 폭으로 줄었고, 오피스텔(-9.9%), 연립·다세대(-3.4%), 아파트(-0.8%) 등도 감소했다.

이중 아파트만 떼어내 시도별로 살펴보면 서울을 제외하고 전 지역의 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4월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4250건으로 전월 4075건에 비해 4.3%, 전년 동월 3133건에 비해 35.7% 늘었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도 각각 7.6%, 48.0% 증가했다. 

충북의 거래량이 1498건으로 17.6% 감소하며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고, △경북(15%, 1917건) △충남(14.6%, 1972건) △전북(13%, 1592건) △광주(11.5%, 1231건)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4월 전국 부동산 거래량과 거래금액은 최근 1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던 3월 대비 소폭 감소하며 숨고르기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연내 금리 인하 기대와 글로벌 경제위기 완화 기대감 등은 하반기 시장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전망이나 지역별, 상품별로 차별화된 시장 흐름이 나타나고 있어 선별적인 투자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했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