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신연수 기자] 금융 교육에 기후위기를 포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기업 시설, 운영 및 공급망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어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7일(현지시간) 금융·회계 교수들이 FT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전반적인 금융 교육 개혁의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보도했다.
최근 자선단체 ‘지속가능성 회계’가 고위 재무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8%는 기후변화가 제기하는 기회와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재무적 의사 결정 방식을 바꾸는 것이 ‘매우 중요’ 또는 ‘필수적’이라고 답했다.
기후변화와 자연 파괴가 기업의 수익성과 현금 흐름에 직접적인 위험을 초래한다는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징후에는 기업 시설, 운영 및 공급망에 대한 위험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이날 전문가들은 “기후 리스크와 기회는 규제 인센티브와 소비자의 선호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환경 변화에 대한 완화와 적응을 위한 민간 자본 동원은 매우 중요하다”며 “이런 위험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금융 교육을 개정해 기후리스크를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학 교수들 역시 “금융 및 회계 교육의 근본적 개편이 필요하다”며 “금융계의 수탁 의무가 비재무적 목표까지 고려하고 ‘시민 투자자’의 관점에서 기후·사회 문제를 바라보도록 재정비 돼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그러면서 “핵심은 금융의 목적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라며 “이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기후 리스크가 금융 교육에 왜 포함돼야 하는지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투자 및 기업 관리자의 책임인 새로운 시장 외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성에 투자하는 것은 수익 창출 함께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등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며 “그렇다고 투자자들과 애널리스트들이 의사 결정에서 비재무적 목표를 제외하라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오히려 위험 조정 수익을 극대화해야 하는 투자자에게도 기후 및 자연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한편 국내 금융권도 기후리스크 관리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3월 금융감독원과 함께 15개 금융회사와 공동으로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리스크 관리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기후대응에 대한 다양한 입장, 기후금융과 관련 개념의 생소함, 관련 데이터와 전문인력 부족 등을 감안할 때 금융소비자와의 소통 프로그램 개발과 도입은 쉽지 않다.
전문가들은 “향후 저탄소사회 도래에 대비해 국내외에서 관련 연구와 논의가 더 활성화돼야 애널리스트와 소비자가 기후리스크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