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SK 바이오 계열사, 처음으로 홍보관 공동 운영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 확대 모색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의 바이오 USA 부스. /SK바이오팜 제공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의 바이오 USA 부스. /SK바이오팜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스가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인 바이오 USA 참석해 글로벌 사업 확대의 기회를 모색한다.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스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바이오산업 전시회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 참가했다고 4일 밝혔다. 

BIO USA는 미국 바이오협회 주관으로 진행되는 국제 행사로 세계 1,500개 이상의 제약·바이오 기업과 2만 명 이상의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행사에 홍보관을 공동으로 마련해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링에 나섰다. SK 바이오 계열사들이 국제 규모의 바이오 박람회에서 홍보관을 운영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양사는 이번 행사를 통해 SK 그룹의 바이오 역량을 선보여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다.

SK바이오 측은 "행사 첫날인 3일(현지시간)에는 다수의 글로벌 기업 관계자들과 현장 관람객들이 SK 홍보관을 방문하며 SK바이오 사업에 대한 국내외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SK바이오팜은 4일과 5일, 양일에 걸쳐 미국 현지 자회사 임원이 직접 진행하는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했다. 4일에는 글로벌 임상개발 담당 임원이 ‘임상부터 미국 직판까지의 성공 스토리’를 발표한다. 

5일에는 지난 해 인수한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의 임원들이 표적단백질분해(TPD) 기술 관련 ‘분자접착제(Molecular glue, MG) 발굴 혁신 플랫폼인 MOPEDTM를 통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전략’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스의 배너. /SK바이오팜 제공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스의 배너. /SK바이오팜 제공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R&D부터 생산·CDMO까지 완전 통합형(Fully Integrated) 백신·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다.

행사 기간 동안 주요 자체 개발 백신과 파이프라인, 최첨단 생산 시설과 R&D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진출 전략을 소개한다. 이와 더불어 주요 글로벌 기업과 기관과의 개별 미팅을 통해 최신 산업 트렌드를 파악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도 모색할 계획이다.

SK바이오팜은 지난해 새로운 파이낸셜 스토리를 통해 3대 신규 모달리티(New Modality)로 RPT(방사성의약품 치료제), TPD(표적단백질분해), CGT(세포 유전자 치료제)를 선정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개발에 나서고 있는 것을 현장에서 홍보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내년 인천 송도에 구축하게 될 글로벌 R&PD 센터에 신규 공법 개발과 연구과제 수행이 가능한 파일럿 플랜트(Pilot Plant)’를 비롯한 최첨단 연구시설을 갖출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기업·기관들과 협력해 글로벌 백신 생태계(Hub)를 조성할 계획을 알린다는 복안이다.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이번 행사에서 SK의 바이오 사업을 알리고, 파트너십도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자체 개발한 혁신 신약으로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국내 바이오 기업으로서 책임감과 역할도 고민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BIO USA를 통해 그간 파트너십을 맺었던 기업·기관들과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신규 파트너십 체결에 대한 기회도 늘 것으로 기대한다”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부쩍 높아진 SK 바이오 사업에 대한 관심에 부응하고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의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