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병·의원 신분 확인 의무화에 따라 PASS 신분증 제시 가능
오는 7월 중 QR검증 서비스도 제공
 PASS(패스) 모바일 운전면허·주민등록증 확인서비스 가입자 수 1000만명을 돌파했다. / SKT
PASS(패스) 모바일 운전면허·주민등록증 확인서비스 가입자 수 1000만명을 돌파했다. / SKT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PASS(패스) 모바일 운전면허·주민등록증 확인서비스 가입자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고 30일 밝혔다.

PASS는 ICT규제샌드박스를 통해 2020년 6월 국내 최초로 앱에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를 제공, 2022년 11월 주민등록증 확인서비스를 추가 제공했다.

PASS는 실물 신분증을 PASS 앱에서 촬영하거나 정보를 입력해 본인확인과 안면인식을 통해 위·변조가 불가한 전자적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1인 1단말 정책에 따라 본인 명의 유심이 탑재된 휴대폰 외에는 등록이 불가하다.

특히 PASS앱의 3600만명의 가입자 기반과 휴대폰 본인확인에 익숙한 이용자 경험, 통신3사 서비스라는 측면도 가입자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현재 PASS 모바일신분증은 주민센터, 운전면허확인, 공직선거 투표장, 국가자격시험장, 국내 항공 탑승수속 등은 물론 편의점, 무인자판기, 영화관 등 민간 분야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PASS 모바일신분증은 요양기관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개정된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지난 20일부터 병원 등에서 신분확인을 의무화하고 있다. 또 오는 7월부터는 국내 최초로 주요 대학병원의 업무창구와 전국 병·의원 무인 키오스크에서 PASS 모바일신분증 QR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3사는 “향후 통신 대리점에 방문하는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유·무선 가입·변경 업무와 번호이동 업무에도 모바일 신분 확인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며 “제주 지역 렌터카 예약 시 비대면으로 신분증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온·오프라인 이용처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나리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