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산·학·연·병 간 긴밀한 협업 모색
"클러스터 통한 혁신 생태계 조성"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보건복지부 제공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보건복지부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민관이 함께 바이오 클러스터 간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육성 전략 수립, 규제 개선을 모색하기 위한 바이오 클러스터 협의체가 본격 가동된다.

2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는 바이오 클러스터 간 연계, 민간 협업 강화를 통한 클러스터 활성화와 고도화 촉진을 위해 '바이오 클러스터 협의체'를 출범하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우리나라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산업은 첨단 기술과 대규모 투자를 수반해, 가댱한 이해관계자들의 집적과 협력이 필요하다.

때문에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혁신 주체 간 서로 밀접하고 긴밀히 활동할 수 있는 장이 필요했다.

그동안 중앙·지방자치단체, 민간 등을 중심으로 각 지자체별로 설립·운영된 바이오 클러스터간 연계·협력을 더욱 강화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에 정부는 협의체 출범 후 정례적인 운영을 통해 각 클러스터 간, 혹은 클러스터 소재 산·학·연·병 혁신 주체 간의 연계·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간다.

이와 함께 클러스터 육성 전략 수립 등 주요 정책 방향에 대한 자문과 의견 수렴, 클러스터의 발전과 성장을 저해하는 규제 등 제도 개선사항도 함께 발굴한다.

이번 협의체는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을 위원장으로 위임하고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교육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 부처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대구경북·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재단 등 6개 주요 클러스터 운영·관리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물공학연구원 등 유관 공공기관과 산·학·병 분야 민간전문가가 모여 결성됐다.

이날 진행된 협의체 제1차 회의에서는 바이오 클러스터 협의체 구성과 운영계획을 공유했다. 이어 6개 클러스터 운영·관리기관별 현황과 주요 현안, 정책 제언 등을 청취하며 향후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박 차관은 "미래 성장동력인 바이오헬스 분야의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우리 산업이 파괴적 혁신과 성장을 위해선 클러스터를 통한 혁신 생태계 조성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협의체를 통해 클러스터 간 활발한 네트워킹과 산·학·연·병 간 긴밀한 협력이 촉진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