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글로벌 플랜팅 프로젝트’ 재개
서울 여의도공원 2배 면적에 총 12만5300여그루 생장
대한항공은 28일 오전 몽골 울란바타르시 바가노르구 ‘대한항공 숲’에서 식림 20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 사진은 식림 행사에 참여한 임직원과 현지 주민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 대한항공 제공
대한항공은 28일 오전 몽골 울란바타르시 바가노르구 ‘대한항공 숲’에서 식림 20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 사진은 식림 행사에 참여한 임직원과 현지 주민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 대한항공 제공

[한스경제=김우정 기자] 몽골 사막화 지역에 숲을 조성하는 대한항공의 글로벌 플랜팅 프로젝트가 올해로 20주년을 맞았다.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임직원 식림활동도 4년 만에 재개됐다.

대한항공은 28일 몽골 울란바타르시 바가노르구 ‘대한항공 숲’에서 식림 20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 숲’은 대한항공이 지난 2004년부터 이어온 글로벌 플랜팅 프로젝트로, 몽골 바가노르구 황무지에 푸른 숲을 가꾸는 사업이다. 현지 사막화를 방지하고 도심형 방풍림 조성으로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기 위해 추진하고 있으며 매년 5월 대한항공 신입 직원과 인솔 직원 100~200명이 이곳에 나무를 심고 나무 생장을 돕는 작업을 진행했다.

지난 2020년 이후에는 코로나19로 하늘길이 막히면서 식림 활동도 중단됐다. 대신 대한항공이 고용한 현지 식림 전문가와 현지 주민들이 제초 작업 등 관리를 하며 지속해서 숲을 가꿨다.

대한항공은 “올해는 4년 만에 임직원 식림 활동을 재개한 의미 있는 해”라며 “지난 20일부터 2주에 걸쳐 신입 직원을 포함한 임직원 총 112명이 나무심기에 참여했다”고 전했다.

바가노르구는 대한항공 취항지인 몽골 울란바타르시에서 동쪽으로 150㎞ 가량 떨어져 있는 지역이다. 이곳에 면적만 3156㏊(헥타르)에 이르는 몽골의 주요 탄광이 있어 몽골 전체 석탄 수요의 60% 가량을 공급한다.

숲을 만들기 전에는 노천 탄광인 이곳에서 인근 마을로 석탄 분진과 먼지가 날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대한항공은 도심형 방풍림 조성을 위해 서울 여의도 공원 2배 크기인 44㏊ 면적의 숲을 조성하기 시작했다.

현재 대한항공 숲에는 포플러, 비술나무, 차차르간(비타민 나무), 버드나무 등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12개 수종의 나무 총 12만5300그루가 자라고 있다. 지난 2019년에는 자동 급수 시설인 점적관수시스템을 설치해 나무 생장률은 95%를 기록했고 가장 높이 자란 나무는 12m에 달한다.

대한항공 숲은 길이 2㎞, 폭 222m로, 탄광에서 불어오는 분진과 먼지를 막아주는 방풍림 역할을 한다. 이곳에는 각종 곤충과 종달새, 뻐꾸기, 제비, 토끼, 여우 등 동물이 모여들며 생태계가 서서히 복원되고 있어 현지 학생들이 소풍과 견학을 오는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대한항공은 ”나무심기 활동과 함께 현지 지역사회 공헌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김우정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