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산업부, 2일 천연가스 도입자문위 개최
LNG터미널 / 포스코인터내셔널 제공
LNG터미널 / 포스코인터내셔널 제공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정부가 불확실한 국제정세에 따른 천연가스 수급 불안정에 대비하기 위해 액화천연가스(LNG) 장·단기 도입계약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런 기간계약은 LNG 수급과 가격이 현물계약보다 안정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한국가스공사 서울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천연가스 도입자문위원회를 개최해 도입계약의 기본 방향과 도입조건의 평가방안 등을 논의했다.

현재 국내 LNG 도입계약은 기간계약과 현물계약으로 구분한다.

기간계약은 도입기간(장·단기)과 가격조건을 구체적으로 정해 체결하며 국제 에너지시장의 변동에도 가격과 수급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반면, 도입물량을 변경할 수 없어 도입 유연성은 낮다는 특징이 있다.

가스공사는 국내 천연가스 수요의 약 70~80% 수준을 기간계약으로, 나머지는 현물계약으로 조달하여 수요와 가격 변동성에 대응하고 있다.

산업부는 국제 천연가스 기간계약 시장 전망을 고려해 국민들의 에너지 비용 부담을 최대한 완화할 수 있도록 가격조건을 최우선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또 특정 지역의 공급 차질에 따른 수급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입국을 다변화할 수 있도록 도입계약을 구성하는 계획도 세우겠다는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천연가스 도입계약은 장기간 가스수급과 요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요조건을 면밀히 검토하고, 천연가스 국제 시황과 수급 안정성을 고려해 도입계약이 적기에 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