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이변 따른 피해액만 38조달러...완화 비용의 6배 이상
저배출·저소득국에 피해 집중..."남아시아·아프리카 가장 영향 커"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기후위기로 인해 2050년까지 전세계 경제소득이 19% 감소할 전망이다. 한국도 소득이 14% 감소하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된다. 전문가들은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로 인해 결국 인간이 위기에 처했다고 경고했다.
1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린 독일 포츠담기후영향연구소(PIK)의 논문 '기후변화의 경제적 영향(The economic commitment of climate change)'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인한 더욱 빈번해진 기상이변으로 인해 2050년까지 전세계 소득은 기후변화가 없었을 때와 비교하면 19% 감소할 전망이다. 특히 그 때까지 매년 38조달러(약 5경2190조원)의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이전 연구들의 추정치보다 피해 규모가 2배 이상 늘어난 결과다. 연구진은 "가스, 석유, 석탄, 나무 등의 연소로 인해 대기에 막대한 양이 배출된 결과"라며 "향후 수십년 동안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는 지난 40년간 전세계 1600여개 지역의 기후 데이터를 비롯해 국가별 소득, 생산량 등의 데이터가 활용됐다. 이를 기반으로 '기후 계량 경제학' 분석 모델, 기후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기후데이터는 '기온 상승'을 주로 사용했다. 기온 상승에 따른 향후 25년 간의 소득 감소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이에 연구진은 기온 상승 외에도 폭풍이나 홍수, 산불 등 다른 기상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만큼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진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더라도 이미 막대한 양이 대기 중에 배출됐기 때문에 각국의 소득은 이미 줄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만약 탄소배출이 현재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세기 말에는 평균 60%의 소득 감소가 일어날 것이라 경고했다. 다만 2050년 탄소중립을 성공한다면 세기말까지 소득 감소는 평균 20%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피해 비용은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이상으로 제한하자고 약속한 파리기후협정 목표를 달성하는 비용보다 이미 6배 이상 초과했다.
2050년까지 화석연료 단계적 폐지 재생에너지 전환 등에 들어가는 비용 전망치는 6조달러(약 8241조원)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그 이후 (피해 규모는) 배출 선택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는 현재까지 탄소 배출량이 적으면서 저소득 국가들에 집중됐다. 탄소 배출량이 적은 저소득국가의 경우 기후위기에 따른 피해가 고소득국가보다 61%, 탄소 배출량이 많은 국가보다 40% 더 클 것으로 예측됐다. 책임이 적은 국가들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나, 기후위기에도 불공정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했다.
이번 연구 저자인 막시밀리안 코츠(Maximilian Kotz)는 "북미와 유럽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심각한 소득 감소가 예상되며, 남아시아와 아프리카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이는 기후변화가 농업 수확량, 노동 생산성, 인프라 등 경제 성장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영국이 가장 낮은 7%를 기록했고, 그 뒤를 미국 독일(이하 11%) 프랑스(13%) 등이 이었다. 반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국가는 카타르(31%), 이라크(30%), 파키스탄(26%) 등으로 더운 지역이 다수 속했다. 한국의 소득 감소는 14%로 추정됐다.
이에 연구진은 "2050년까지 급진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가난하고 피해가 심한 국가들에 강력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라진 기자 jiny3410@sporbiz.co.kr
관련기사
- "기후위기는 현실"이라는 아태계 미국인...美 대선 변수 되나
- [1.5℃ HOW] 개도국, 올해 갚을 빚만 559조..."기후위기 대응 여력 없어"
- [1.5℃ HOW] 한국, 석탄발전 2015년 이후 '최고치'...전세계는 2%p 증가
- [포토] 플라스틱 제로와 플라스틱 음료...금요기후행동
- [포토] 청소년기후행동, 기후위기 방관은 '위헌'
- [지구의 경고 1.5℃] 탄소중립 시대..식탁의 작은 변화로 시작된다
- 후퇴하는 ‘워크 자본주의’...기업들 넷제로 신뢰성·ESG 투자 위축
- "기후변화에 따라 보건 시스템도 변해야"...기후위기, 건강까지 위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