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미국당뇨병학회에서 연구 결과 발표 예정
2030년 상용화 목표
한미약품의 H.O.P 프로젝트. /한미약품 제공
한미약품의 H.O.P 프로젝트. /한미약품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한미약품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차세대 비만 치료 삼중작용제(HM15275)의 임상 1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 

임상시험계획에는 성인 건강인과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HM15275의 안정성과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특성 등을 평하하는 내용이 담겼다.

한미약품은 HM15275의 상용화 목표 시점을 2030년으로 세우고 지난 2월 29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IND를 제출하는 등 임상 개발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

HM15275는 현재 임상 3상 개발이 진행중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혁신을 이어나갈 차세대 비만 신약으로,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와 억제 펩타이드(GIP), 글루카곤(GCG) 등 각각의 수용체 작용을 최적화해 '근 손실은 최소화하면서도 25% 이상 체중 감량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오는 6월 미국에서 열리는 2024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 HM15275에 대한 여러 건의 주요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비만 모델에서 체중감량 효능에 대한 HM15275의 계열 내 최고신약(Best-in-class) 잠재력과 그 작용기전을 규명한 결과를 공개한다. 또한 비만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 모델에서 HM15275의 차별화된 치료 효능을 힙증한 결과를 발표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최근 국제학술지 란셋(Lancet)에 게재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비만 인구는 2022년 기준 10억명 이상으로 1990년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이같은 추세가 유지된다면 오는 2035년 세계 비만 인구는 19억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최인영 한미약품 R&D 센터장은 "오랜기간 동안 대사성 질환 분야에서 쌓아온 R&D 역량을 토대로 전 세계적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비만' 영역에서 새로운 혁신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가고 있다"며 "제약강국을 향한 열정과 집념으로 가득찬 한미의 R&D 혁신은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