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현령 기자] 의료계 집단행동이 가까워지는 가운데 정부는 비대면 진료 전면 허용과 응급실 24시간 운영 등 의료 공백에 대한 대응책을 밝혔다.
19일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국 409개 응급 의료기관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하고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응급 당직의 핵심을 맡는 전공의들의 집단행동 움직임에 의료공백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한 총리는 19일 주재한 의료계 집단행동 대응 관계 장관 회의에서 대응책을 밝혔다.
한 총리는 “공공의료 기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고 집단행동 기간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할 계획”이라며 “전국 409개 응급의료기관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해 비상 진료에 차질이 없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응급 및 중증 수술을 최우선으로 대응하고 필수 의료 과목 중심으로 진료가 이뤄지도록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상황이 악화할 경우 공보의와 군의관을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전했다. 또 97개 공공병원의 평일 진료 시간을 확대, 주말과 공휴일에도 진료하도록 할 것이며 12개 국군병원 응급실을 민간에 개방하겠다고 알렸다.
앞서 5대 대형 병원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이날까지 빅5라고 불리는 5대 대형 병원 전공의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 오전 6시 이후 근무를 중단할 예정이다.
빅5 병원(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 중 세브란스 병원의 소아청소년과 등 일부 진료과목 전공의들은 이날 오전 7시부터 사직서 제출과 동시에 근무를 중단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23개 병원에서 전공의 7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으며, 출근하지 않은 전공의 103명 중 100명은 복귀했다. 아직 사직서가 수리된 곳은 없다.
정부는 업무개시명령 후 복귀한 전공의가 다시 근무지를 떠나는 행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공의가 근무하는 대부분의 수련병원에 전공의들의 근무 상황을 매일 보고하라는 명령을 전달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전공의가 근무하는 전국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사직서 제출 참여 여부를 조사할 방침이다. 앞서 빅5 병원이 집단행동 움직임을 보여 전국 곳곳에서 집단 사직에 동참할 가능성이 크다.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생도 20일 동시 휴학계를 내기로 결정했다.
한편 의료계 집단행동이 알려지며 누리꾼 사이에서 엇갈린 반응이 있었다.
“의대생 증원은 필요하지만 2000명은 너무 많다”, “단순히 인원을 늘린다고 필수 의료 인원이 늘어날 것 같지 않다”며 파업을 긍정적으로 보는 반응이 있었다. 그러나 “의사가 다른 사람의 생명권을 걸고 싸운다”, “간호사들 파업할 땐 눈치 주더니 본인들은 안하무인이다”, “근로조건이 안 좋다면 의대 정원이 아니라 고용주인 병원을 상대로 파업해야 하는 것 아니냐”라며 비판하는 반응도 있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지난 11월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성인남녀 1016명 중 89.3%가 의대 정원 확대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이현령 기자 box0916@sporbiz.co.kr
관련기사
- 국민의힘, "의사 파업 엄정 대응…불법행위 시 모든 수단 동원"
- 의대생들, 집단휴학 강행 의사 피력…정부, 학사 관리 당부
- 복지부 '집단 연가 사용 불허'… 20일 빅5 전공의 근무중단·의대생 동맹 휴학
- "죽여버리겠다" 학생 협박에 방검복 입고 출근한 교사
- 점차 번지는 전공의 사직 물결에 대학병원 수술 줄연기…난감한 병원 직원들
- 동두천~연천 수도권 지하철 1호선 나흘째 운행 중단… 그 이유는
- [포토] 전공의 집단사직...어린이병원 '북적북적'
- 3·1운동 105주년 ‘SDC 나라사랑 콘서트’ 성료…국가보훈부 후원
- 나발니 아내 "푸틴이 남편 살해"… 남편 유지 이어 활동 선언
- 전공의 파업 본격화…임상강사·전문의도 비판 가세
- "주요 94개 병원 소속 전공의 78.5% 사직서 제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