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원주민들 소송 제기... 시추 작업 지연되기도
정부, 산업부 중심으로 외교 채널 가동 호주 당국과 소통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이해관계자가 제기한 소송으로 지연된 해외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가 산업통상자원부의 외교 및 교섭활동 지원에 힘입어 숨통이 트이게 됐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SK E&S가 호주 산토스 및 일본 제라와 함께 개발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이 지난 15일 호주 해양석유안전환경청으로부터 시추 환경 인허가 승인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SK E&S는 2012년부터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에 참여해 현재까지 누적 총 1조5000억원의 투자를 진행해왔다. 현재 전체 공정율 60%를 넘어 2025년 상업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당초 이 개발사업은 CCS(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을 적용한 연 평균 130만t의 ‘저탄소 천연가스’를 도입함으로써 국내 5%에 불과한 LNG자급률을 높일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일부 지역 주민이 소송을 제기하면서 1년 넘게 작업이 지연돼 왔다.
헤럴드 선(Herald Sun) 등 현지 언론들은 “악어인간 미신(사람이 악어로 변신) 등을 이유로 진행 중인 가스전 프로젝트를 중단시켜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있었으나, ‘원주민 지위 향상’을 내세우는 목소리에 사업 재개가 미뤄지던 상황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현지 기관의 인허가 지연과 지루한 소송전으로 지쳐가던 중 정부가 나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국내 기업의 해외 에너지자원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부를 중심으로 각국 정부와 에너지 협력체계를 구축해왔다.
특히 호주는 한국이 천연가스와 광물자원을 가장 많이 공급받는 국가로, 양국 사이 장기간 에너지자원협력 체계가 가동돼 온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난 7월 이창양 당시 산업부 장관과 호주 기후변화에너지부 장관이 한국에서 만나 에너지 협력강화를 논의했고, 10월에도 호주에서 열린 한-호 에너지협력위원회를 통해 관련 논의를 이어 갔다.
또한 산업부 강경성 제2차관 등도 다양한 외교채널을 활용해 호주 관계 당국과 소통을 진행, 해외 자원 개발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스전 개발은 진입장벽이 높고 현지의 정치·사회적 상황으로 실제 생산까지 지난한 과정이 소요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한양대 김진수 자원공학과 교수는 “이번 바로사 가스전의 환경인허가 승인은 ‘국가 에너지 안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민관이 원팀이 돼 이뤄낸 값진 성과”라고 설명했다.
조나리 기자 hansjo@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