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주문건수 전년비 87% 급증
김치, 고등어, 갈비탕 등 가정간편식(HMR) 매출 증가
[한스경제=이수민 기자] GS샵은 올해 소비자들이 여행, 뷰티, 패션 등 엔데믹 수혜 상품들과 집밥 관련 상품을 가장 많이 구매했다고 4일 밝혔다.
고물가 영향으로 절약형 소비를 추구하면서도 엔데믹은 최대한 누렸다는 평가다.
GS샵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TV홈쇼핑, 데이터 홈쇼핑, 라이브 커머스, 모바일 앱 등을 통해 판매된 상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고 히트 상품은 여행상품으로 나타났다. 11월 말까지 여행상품 주문(예약상담) 건수는 22년 연간 대비 87% 급증했으며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연간 대비 80% 수준까지 회복했다.
여행 지역으로는 일본, 유럽, 베트남 순으로 인기가 높았다. 전체 주문건수에서 28%를 차지한 일본은 가까운 거리, 엔저 효과 등에 힘입어 올해 가장 큰 인기를 누렸다. 유럽 비중은 24%였다.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등 서유럽이 13%, 튀르키예가 5.4%로 많은 관심을 끌었다. 3위는 다낭, 나트랑 등 여행지를 중심으로 한 베트남이 17%를 차지했다. 급증한 여행 수요 영향으로 ‘아메리칸 투어리스트’ 여행가방 매출이 전년비 390%, '내셔널지오그래픽' 여행가방은 240% 급증했다.
야외활동이 많아지며 뷰티, 패션 상품도 인기를 끌었다. 특히 뷰티 카테고리에서는 가정용 미용 기기 '듀얼소닉'과 '메디큐브'가 주문기준 매출 약 850억 원을 기록했다.
패션 카테고리에서는 브랜드 '모르간'이 21, 22년에 이어 올해도 GS샵 전체 브랜드 가운데 주문기준 판매량과 매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또한 김재현 디자이너 브랜드 '아뜰리에 마졸리'는 전년비 50% 이상 매출이 증가했다. 그 밖에 GS샵이 올해 단독으로 선보인 캐주얼 브랜드 '벤시몽'은 주문기준 2백억 이상 매출을 달성했다.
집밥 관련 상품 매출도 크게 늘었다. ▲종가 포기김치 ▲김수미 엄마생각 포기김치 등 포장김치 매출이 전년비 30% 증가했으며 ▲고등어밥상 순살고등어 ▲해화당 갈비탕 ▲김동완 프라임 스테이크 ▲이연복 팔보채 등 가정간편식(HMR) 상품 매출이 15% 늘었다.
GS샵은 올해 주목받은 브랜드를 모아 12월 4일(월)부터 10일(일)까지 일주일간 '베스트 어워즈' 특집을 실시한다. GS페이(GS Pay) 결제 시 1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주운석 GS샵 MD본부장은 "GS샵 핵심 경쟁력은 다른 채널에서 구할 수 없는 차별화된 상품을 소싱하고 그 상품의 가치를 가장 쉽고 효율적으로 고객들에게 전달하는 역량이다"라며 "앞으로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줄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설명했다.
이수민 기자 sum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