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시장 교두보(동유럽), 지정학적 환경 변화(중앙아), 세일즈외교 성과(중동) 등 작용
상의 “주요국들과의 제품 교역 반등세까지 이어진다면 수출 회복에 탄력 붙을 것”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올해 1~9월 누적 수출액 기준으로 전년대비 수출이 가장 많이 증가한 상위 10대 국가는 폴란드, 헝가리, 튀르키예, 키르기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카자흐스탄, 미국, UAE, 벨기에, 카타르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9일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수출실적을 분석한 ‘우리나라의 국가별 수출실적과 호조국가 분석’ 연구결과를 발표, “10대 수출액 증가 국 중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9개국은 우리나라 수출규모 13위인 폴란드부터 55위인 카타르까지 10~50위권인 국가들이었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9개국으로의 수출 규모를 모두 합치면 약 336.9억달러로 이는 수출 4위인 일본(214.9억달러)보다 커 규모 면에서도 작지 않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는 “기존에 비교적 주변 시장으로 여겨졌던 국가들에서의 수출이 늘어난 것은 주목할만한 일”이라며, “여기에 주요국 및 제품 교역의 반등세가 이어진다면 수출 회복에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올해 수출 실적이 있는 238개국을 대상으로 2023년 1~9월의 누적 수출액과 2022년 1~9월의 누적 수출액을 비교해 분석했으며, 조세피난처(마셜제도 등), 수출제재 대상국(러시아)은 순위에서 제외했다.
◆ 유럽시장 진출 교두보 국가의 생산 확대
대한상의는 이들 국가들에 대한 호조 품목 분석을 통해 수출증가 이유를 △EU 등 대형 경제블록 내 판매를 위한 생산기지 확대 △중앙아시아 등 지정학적 위기 극복 △방산 등 정부의 세일즈 외교 등으로 분석했다.
우선 폴란드, 헝가리, 튀르키예 3개국은 유럽시장으로의 진출 교두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실제로 2차전지의 원료인 정밀화학원료의 수출은 폴란드에서 30.1%, 헝가리에서 73.8% 증가했다. 이 국가들에는 각각 SK, LG 등의 2차전지 공장이 가동 중이다. 이들 국가에서 생산된 배터리는 독일 등 다른 EU국가로 수출돼 전기차의 배터리 용도로 활용된다. 또한 튀르키예로는 자동차부품 수출이 40.1% 증가했다. 이는 현대차의 완성차 공장에서의 유럽 수출이 늘어난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4위부터 10위까지의 수출국가 중에는 중동, 중앙아 지역 국가가 5곳 포함돼 있다. 대한상의는 키르기스스탄(4위), 카자흐스탄(6위)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영향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러시아간의 자동차 무역이 어려워진 가운데 한국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키르기스스탄에는 중소형 자동차(1500cc~2500cc, 573.5% 증가) 수출이 크게 늘고, 현대차 공장이 있는 카자흐스탄으로도 중소형 자동차(32.4%) 및 자동차부품(615.6%) 등의 수출이 증가했다.
◆ K-방산, 건설 등 정부 세일즈외교 성과
사우디아라비아(5위), 아랍에미리트(8위), 카타르(10위) 등은 정부의 세일즈 외교와 연관돼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방산, 원전, 건설기계 관련 수출이 돋보인다. 사우디로는 다연장로켓 천무, 유도로켓 비궁 등 무기류(88.1%) 수출이 두드러졌다. 이는 폴란드에 대한 대규모 방산 수출에 이어 정부의 세일즈 외교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네옴시티 건설, 태양광 발전 증가 등 요인으로 인해 건설중장비(81.7%), 유압식변압기(133.3%) 등 건설 관련 품목들의 수출도 증가했다.
아랍에미리트로는 우라늄(494.2%)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UAE 바카라 원전으로 핵연료를 수출하는 영향으로 보인다. 또한 카타르의 경우 북부 가스전 확장공사 등 건설 프로젝트를 우리 기업들이 수주하면서 무계목강관(420.6%), 화학기계(5482.1%) 등의 수출이 급증했다.
대한상의는 해당지역에 생산기지 건설, 정부지원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수출시장을 확대·개척하고 향후 수출품목을 소비재 등으로 다양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실제로 헝가리, 벨기에로 의약품 수출이 각각 84.6%, 77.3% 증가했다. 또한 키르기스스탄 및 카자흐스탄에는 한류의 영향으로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 수출이 각각 49.2%, 57.6% 늘었다.
아울러 대한상의는 기존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 했던 중소형 시장에 대해서도 수출 전략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수출규모 11위 이하 국가도 수출액 비중은 32.1%를 차지했다. 향후 경제 발전 가능성, 개발도상국의 높은 청년인구 비중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시장을 사전에 선점해 인지도를 높여놓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대한상의는 “크고 익숙한 시장만을 의존할 것이 아니라, 발전가능성이 높은 틈새시장을 찾으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관련기사
- 새벽배송 서비스 없는 지역 소비자 84%, “새벽배송 필요”
- [1.5℃ HOW] 대한상의‧한국환경연구원, “순환경제 활성화 필요”
- 경제계, "마지막 입법 기회"...주요 입법현안 리포트 국회 제출
- 올해 물류업계,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주목...“전쟁리스크, 운송수단·거점 불확실성 영향“
- 한·카타르, 미래에너지 협력해 신산업 육성한다
- 5G폰도 LTE 요금제 가입 가능해진다… 3만원대 5G 요금제도 출시 예정
- 일본 전철 밟지 않으려면...“규제 개혁과 신 비즈니스 유망 분야 집중해야”
- 공급망 리스크 상시화...기업 60%, “공급망 대체방안 준비 중”
- 대한상의, “경제형벌 개선과제 중 입법완료 1건 불과...국회 입법 속도내야”
- 내년 소매유통시장 성장률 1.6% 그쳐…고물가·고금리에 갇힌 소매시장
- 내년 車·반도체 업황 회복, 바이오는 긍정적…철강·유화·이차전지는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