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北, 지난해 가상자산 2조 3000억원 가로채"
김정은(왼쪽) 국무위원장이 훈련 현장을 방문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8월 31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김정은(왼쪽) 국무위원장이 훈련 현장을 방문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8월 31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국민의힘이 28일 날로 정교해지는 북한의 사이버 범죄에 대해 "컨트롤타워를 강화해 실시간으로 대응하고, 국제사회와 긴밀한 공조를 통해 효율적인 사이버 안보 공조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광재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유엔 대북제재위원회는 '북한이 세계 곳곳에서 해킹을 통해 가상화폐를 탈취해왔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해 훔친 가상자산의 규모가 전년도의 3배 수준으로 급증해, 그 금액만 2조 3000억원, 17억 달러에 육박하고 있다. 최근 미국 당국자는 '북한이 탄도미사일에 필요한 외국산 부품을 구매하는 외화의 약 50%가 가상자산 탈취로 충당된다'고 주장했다"고 설명했다.

정 대변인은 "이렇게 해서 모은 검은 돈은 역시나 대량 살상 무기나 핵 개발 프로그램 지원을 위해 쓰였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극심한 식량난으로 군인들의 배급량까지 줄인 북한이 지난해 수십 차례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핵탄두 등 군비 증강에 나설 수 있었던 것도 이런 불법 가상자산 탈취로 가능했을 것이란 분석이다"라고 전했다.

또 "문제는 북한이 자금과 정보를 빼내기 위해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는 규모와 기술력이 점점 고도화되고 있다는 점이다"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 와중에 국내 데이터 복구업자들이 북한 해커들과 사전 모의해 악성 프로그램 랜섬웨이를 유포한 후, 수십 억원을 받아 챙긴 것도 밝혀졌다"며 "북한의 지령을 받아 자금줄 만들기에 일조했다는 것이 매우 충격일 뿐만 아니라, 북한의 사이버 범죄가 우리 사회까지 파고 들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범국가적 사이버 안보 민·관 통합 컨트롤타워 가동을 골자로 한 사이버기본법 제정도 서둘러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