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선사·차주와 경쟁이나 갈등 아닌 상생 생태계 구축”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LG유플러스가 접수, 배차, 운송, 정산 등 화물 중개 및 운송에 필요한 모든 프로세스를 원스톱 제공하는 DX플랫폼 ‘화물잇고’를 출시하고 화물 운송 중개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유플러스는 3년 내 1500억원 매출을 목표로,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일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16일 오전 10시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품 운송 중간 단계이자 B2B 운송을 의미하는 미들마일 시장을 타깃으로 화물운송 중개 DX 플랫폼 ‘화물잇고’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임장혁 기업신사업그룹장(전무)과 강종오 스마트모빌리티 사업담당(상무), 전영서 사업서비스개발 LAB장이 참석했다. 이하는 일문일답.
- 출시 초기 이용료를 받지 않겠다고 했는데, 이용료는 월별인지 건당인지? 또한 출시 초기란 언제까지 인가?
서비스 기획 단계부터 이용료는 월별로 생각했다. 건당 수수료는 생각한 적 없다. 이용료는 기존 전국 단위 운송 중개 대행 정보망 서비스 요금과 비슷한 수준으로 고려 중이다. 이용료는 주선사는 지불하지 않고, 차주만 지급한다. 무료 이용 기간은 언제까지로 할지 정하지 않았다. 플랫폼이 활성화 될 때까지는 의지를 갖고 추진할 방침이다.
- 타기업들도 화물 중개 플랫폼을 출시하고 있다. ‘화물잇고’만의 차별점은?
첫 번째는 사업모델이다. 다른 경쟁사들은 화주를 대상으로 사업을 하는 모델인 반면, 화물잇고는 주선사와 차주를 대상으로 하는 모델이다. 카카오모빌리티도 저희와 유사한 방식으로 알고 있다. 업계에서 건전한 경쟁을 하지 않을까 싶다.
두 번째는 기능적 측면이다. 기존에 수기나 사람이 수행하면 세금계산서 발행 등을 비롯한 업무의 DX를 비롯해 차주를 위한 종합 커뮤니티 포털을 지향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마지막은 얼마나 운영을 잘할 수 있느냐 같다. 사실 DX는 큰 차이가 안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얼마나 많은 주선사가 참여하는지, 그 물량을 기반으로 얼마나 많은 차주가 모일 수 있는지 라고 생각한다.
- 3년 내 1500억원 매출을 달성하겠다고 했다. 이 규모는 어떻게 나온 것인지?
매출액 근거는 2년 전에 시장 분석을 한데 따른 것이다. 시장이 규모가 크고, 운송시장이 오래된 시장이라 언젠간 DX가 이뤄질 거라 생각했다. 그중 우리 같은 사업자들이 얼마나 비율을 차지할지에 대해 고민했다.
- 모빌리티 사업에 대해 강조를 했는데, 화물잇고와 관련한 향후 모빌티리 전략이 있는지?
모빌리티 사업과 관련해서는 커넥티드 카 경쟁력과 통신업, 자율주행 사업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는 화물 운송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통정보도 마찬가지다. 언젠가 화물차의 상태도 모니터링하고 관제할 시대가 올 거라고 생각한다. 지금은 화물 운송 플랫폼이 진화하는 과정이라고 본다.
AI나 데이터 기반 모델링을 많이 얘기하는데 LG유플러스도 많은 노하우가 있고, 많은 데이터가 쌓여있다. 특화된 AI 모델을 누가 먼저 만드느냐가 시장 선점에서 중요할 것 같다.
- 차주분들도 수수료 문제로 인해 플랫폼에 편입되는 걸 망설이고 있다고 들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차주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전략은?
수수료 제도가 나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여러 단계에서 일을 하고 있고, 그 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이다. 주선사가 영업이익이 높지 않은 것 역시 많은 업무(인력)에 따른 영향도 있다. 우리는 플랫폼 사업을 통해 비효율적인 업무를 디지털화하고 그를 통해 운임료 등의 개선도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결국 정보망을 대체하는 사업인데, 기존 정보망 사업자들과 경쟁이 불가피하다. 대응책이 있는지?
정보망이 좋은 가치를 제공한건 사실이다. 통상 정보망은 주선사가 거래 차주에게 일감을 주고 남은 물량을 소화하기 어려우면 정보망을 통해 공개적으로 물량을 주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다만 딱 거기까지 업무를 소화하고 있다. 때문에 주선사 측의 업무효율성도 좋아지지 않고, 차주들의 애로사항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결국 정보망의 플랫폼화가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 신한카드와의 협업으로 기존 정산 시스템을 개선해 익일 정산을 시행한다고 했는데, 중간에 발생하는 금융비용(수수료)는 어느 정도 인지?
소량의 금융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최소한의 수수료를 책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신한카드와 협의하고 있다. 비용 부담은 현재로서는 차주가 부담하는 안을 구상중이다. 다만 기존에는 운임료를 받지 못하거나 정산이 오래 걸리는 시스템이었는데, 앞으로는 운행 바로 다음날 정산이 이뤄지는 만큼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 익일 정산은 올 연말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조나리 기자 hansjo@sporbiz.co.kr
관련기사
- [현장] LG U+, ‘화물잇고’ 출시로 아날로그 ‘미들마일 시장’ DX 선도
- 이통3사, ‘6G 시대’ 청사진 전망은?
- 통신3사 “PASS모바일운전면허, 금융·공공 분야로 확산”
- 5G 초기시장 끝… 통신3사, ‘요금제 전쟁’ 돌입하나
- LG U+, 초개인화 요금제 ‘너겟’ 출시… 5G 16종 선택 가능
- LG전자-LGU+, 협력 벨트 구축해 6G 기술 주도권 선점
- KT·롤랩, AI화물중개 플랫폼 ‘브로캐리’ 정부 인증 획득
- LG유플러스-현대차, ‘로봇 친화형 빌딩’ 통신 인프라 구축
- LGU+ ‘아이들나라’, 실물 교재·교구 출시… 유아동 사업 확장
- LGU+, 전력료 인상에 3분기 영업익 10.8%↓… 매출 소폭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