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 폐지 및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촉구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프란치스코 교황이 기후위기에 대한 선진국들의 단호한 조치를 요구했다. 특히 화석연료 감축과 퇴출에 앞장설 것을 촉구했다.
4일(현지시간) 가디언은 바티칸이 지난 2015년 교황이 출간한 '찬미받으소서'의 후속으로 '교황 권고'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교황 권고의 대상은 주로 가톨릭 신자들이지만, 전 세계인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담는다.
지난 2015년 발표한 '찬미받으소서'는 파리협정이 체결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1) 개회 직전 발표됐다. 200여 페이지의 분량의 회칙에는 다양한 기후변화를 다루면서 화석연료를 다루는 이들에게 기후 비상사태라고 경고했다.
회칙의 후속조치인 이번 권고문에서는 지구 온난화에 단호한 조치가 없다면 세계는 돌이킬 수 없는 지점에 직면할 것이라며 기후 붕괴를 막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교황은 "재생에너지로 에너지 전환의 가속화를 촉구했다"며 "그러나 CCS(탄소포집 및 저장)와 같은 신기술에 의존하는 것은 눈덩이를 언덕 아래로 밀어버리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교황은 꾸준히 기후위기에 대해 소신을 밝혔다. 특히 기후위기가 인간으로 인해 발생하지 않았다는 '기후변화 부인론자'들을 강하게 비판하고,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는 시위자들을 옹호했다.
그는 "서구 모델과 관련된 무책임한 생활방식의 대대적 변화를 촉구했지만 반대에 부딪혔다"며 "가톡릭 교회 내에서도 전문가들의 견해가 무시되고 합리적인 의견으로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 설명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올해 11월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에서 열리는 COP28에서 화석연료 퇴출을 위한 구속력 있는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아랍에미리트가 대규모 석유 생산국이었다는 점을 우려했다. 한국 역시 재생에너지에 상당한 투자를 하는 반면 화석연료의 주요 수출국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교황은 "전 세계 인구에서 소수의 부유층이 가난한 50%보다 더 많은 오염을 일으킨다"며 "가난한 나라들은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고도 가장 많은 피해를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희망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모든 인류, 특히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기후변화의 최악의 영향에 노출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자살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COP28이 에너지 전환을 결정적으로 가속화할 수 있길 바란다"며 "이번 회의는 1992년 이후 일어난 모든 일들이 가치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향 전환의 계기가 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금까지 달성한 모든 선한 일들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를 위해 화석연료의 단계적 폐지에 그치지 않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교황은 "배출량을 줄이는 데 도움될 수 있는 기술은 좋지만, 지나치게 의지하진 말아야 한다"고 우려했다.
정라진 기자 jiny341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