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근현 기자] 우크라이나전에서 무인기의 활약이 전쟁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AI)을 통해 스스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무인전투기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우리 공군도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개발 중인 국산 전투기 ‘KF-21 보라매’를 통해 유·무인 전투체계를 확보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현재 4.5세대 전투기로 개발 중인 KF-21는 6세대 유·무인 전투기로 성능 개량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당장 투입 가능한 4.5세대 전투기로서의 역할을 하고 앞으로 있을 6세대 대응까지 할 수 있는 만능 전투기인 샘이다. 공군은 KF-21이 무인 전투기와 편대 운용하면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해 적의 방어능력을 무력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공군과 KAI는 KF-21을 기반으로 2040년까지 무인 편대기 등과 합동 작전을 하는 유·무인 전투체계 능력 등을 확보하고 2041년 이후에는 6세대 유·무인 전투기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미국은 최근 개발 중인 무인 전투기 'XQ-58A 발키리'의 첫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발키리는 미 공군과 방산업체인 크라토스디펜스가 함께 개발 중인 AI 무인기다. 미 공군은 발키리를 전투기 편대의 ‘윙맨’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윙맨은 편대의 리더 전투기 곁에서 함께 작전을 수행하는 전투기다.
우리 공군은 1~2대의 유인 전투기가 AI가 탑재된 무인 전투기 4~8대를 통제해 편대로 작전을 수행하는 ‘유·무인 전투비행체계’를 구상하고 있다. 무인기와 유인 전투기가 마치 하나의 비행기처럼 유기적으로 움직이면서 위험한 곳에는 무인기를 대신 보내거나, 유인 전투기가 적을 발견하면 적의 눈에 띌 염려가 적은 무인기가 대신 공격하는 ‘팀플레이’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완전한 스텔스 능력을 탑재하게 된다면 적에게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탐지·식별·공격하는 융합·지능화된 체계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해 공군은 유·무인 전투 비행 체계와 인공지능을 결합한 ‘킬웹(Kill-Web)’의 연구에도 착수했다. 킬웹은 △우주자산 △유·무인 전투비행체계 △작전사령부 △비행단을 병렬적으로 연결하는 다층·다중의 광대역 네트워크 지휘 통제 체제다. 킬웹을 갖추면 일부 자산이 파괴되거나 운용이 제한돼도 정보 공유와 공격·방어 작전을 지속할 수 있다.
공군은 미래 전장이 될 우주 영역의 전력 구축에도 신경쓰고 있다. 지난해 공군은 공군작전사령부에서 군 최초의 우주감시전력인 ‘전자광학위성감시체계(EOSS)’를 전력화했다. 이 체계는 한반도 상공을 통과하는 인공위성의 첩보활동을 감시하고, 우주물체를 탐지·추적해 정보를 획득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전문가들은 수형 위성을 통한 첩보활동, 그에 따른 유·무인 전투비행체계의 즉각적인 임무수행이 향후 전장의 승패를 가를 것으로 보고 있다.
김근현 기자 khkim@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