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임금제 갈등...“받는 것보다 더 야근” vs “근로시간 문제로 소모적 갈등만”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야근 수당을 미리 정해서 주는 현행 포괄임금제에 대해 찬반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기업들은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포괄임금제를 도입하고 있는 300여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현행 포괄임금제에 대한 기업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의 74.7%는 ‘포괄임금제를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24.3%였다.
포괄임금제는 정해진 근로시간 이외의 수당을 미리 정해서 기본급과 함께 지급하는 제도다. 한 달 동안 일정시간 연장근로를 하는 것으로 수당을 사전에 책정해 월급에 포함해 지급하는 방식이다.
포괄임금제를 반대하는 입장은 ‘초과수당 받는 것보다 더 많이 일한다’고 주장한다. 공짜야근과 장시간 근로를 부추기는 제도라는 지적이다. 반면 찬성 입장은 ‘포괄임금에서는 초과근로 유인이 없어 불필요한 야근을 막는다’란 입장이다. 오히려 ‘6시 퇴근’이 많아 임금을 더 받는 제도라는 설명이다. 또 포괄임금제가 없다면 커피 마시고 SNS하는 시간이 근로시간인지를 따지며 소모적 갈등만 부추긴다는 주장이다.
이번 조사 대상 기업은 절반 이상이 ‘근로계약서’(51.5%)에 근거해 포괄임금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어 ‘연봉계약서’(18.6%), ‘취업규칙 등 사내규정’(18.3%), ‘별도 규정 없는 관행’(7.3%), ‘단체협약’(4.3%) 등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
포괄임금제 적용대상과 관련해서는 ‘전체직원’(43.9%) 또는 ‘사무직’(42.5%)이 가장 많았으며, ‘생산·현장직’(21.3%), ‘영업·외근직’(19.3%), ‘연구개발직’(16.3%), ‘IT직’(4.3%) 등 순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포괄임금제를 허용해야 한다는 이유로는 ‘근로시간 관리·산정 쉽지 않아서’가 51.6%를 차지했다. 이어 ‘실질 임금감소로 근로자 불만’(31.6%), ‘시간외수당 등 인건비 증가 우려’(28.9%), ‘엄격한 근로시간 관리에 대한 근로자 불만’(28.4%), ‘포괄됐던 시간외수당을 기본급화 요구’(16.4%) 등 순이었다.
또 포괄임금제가 정하는 시간외수당이 실제 시간외 근로시간의 댓가와 비슷하거나 더 많다는의견도 나왔다. 기업들은 지급하는 수당(연장·야근·휴일근로수당)과 실제 시간외 근로시간이 비슷하다는 응답이 47.5%, 오히려 포괄임금제에서 주는 시간외 수당이 더 많다는 의견은 28.6%였다. 반대로 실제 시간외근로시간보다 더 적다는 응답은 15.2%였다.
실제 포괄임금제 도입 유형을 살펴보면, 절반이 넘는 기업(52.5%)들이 기본급과 별도로 일정 초과근로시간을 예정하고 그에 대한 정액수당을 지급하는 ‘고정OT’방식을 택하고 있었다. 이어 기본임금을 미리 산정해 시간외수당과 구분하되 구체적 내역은 명시 않은 ‘정액수당제’가 29.2%였고, 기본임금을 미리 산정하지 않고 시간외수당까지 합쳐 월급을 지급하는 ‘정액급제’가 18.3%였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포괄임금제도는 연장근로 등 시간외근로에 대해 일정 수당을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근로자와 사업주간 자유계약”이라며, “사업주는 관리의 편리함을, 근로자는 일정부문 임금보전 수단으로 활용해온 제도로 이를 완전히 금지하기 보단 임금체불 여지가 있는 기업에 대해 법을 준수하도록 감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포괄임금제는 노사합의로 산업현장에서 오랜 기간 유용하게 활용돼 온 임금산정 방식”이라며, “포괄임금제 폐지를 논하기 전에 경직적인 근로시간제도를 노사의 자율적 선택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경쟁력 향상과 근로자 삶의 질 향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관련기사
- 한-인니, “수교 50년, 새로운 동반자로 도약하자”
- 대한상의 스타트업 포럼, “지식재산권 분쟁 철저한 대비 필요”
- [1.5℃ HOW] “탄소감축 기술개발, 부처 협업에 달려”…석유화학업계, 탄소중립 전략 모색
- 중국경제 경고등…국내 기업들 불안감 고조
- ‘생성형 AI’ 가장 많이 쓰일 산업은 ‘금융‧보험업’
-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 “첨단산업 협업으로 글로벌 기술리더십 확보해야”
- [1.5°C HOW] 대한상의,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안정화 위해 ‘이월제한 조치’ 완화해야”
- 경제계, “5대 분야 킬러규제, 마지막 정기국회서 풀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