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요미우리신문 "중국에 수출한 일본산 가리비 50톤 돌아와"
전문가 "중국, 대체국 없어...판로 확대 난항 우려"
중국 정부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직후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7월 중국의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모습. / 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직후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7월 중국의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모습. / 연합뉴스.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이후 일본 수산업계의 타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가 일본산 수산물 수입 전면 금지 조치, 이 같은 사실을 세계무역기구(WTO)에 통보했기 때문이다. 

6일 요미우리신문은 중국으로 수출한 일본산 가리비 50톤이 돌아왔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의 일본산 수산물 전면 금지에 따른 가리비 재고는 350톤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간 가리비는 조개껍데기가 붙은 채 중국으로 수출, 중국에서 가공돼 미국 등으로 재수출되는 상품이었다. 일본에서는 인력 부족 등으로 조개 껍데기 벗기는 것에 한계가 있어 중국에 의존을 하고 있었다. 

미야시타 무네이치로 지사는 가리비 가공회사와 간담회를 갖고 "판매처 확보를 위해 새로운 곳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가리비 관련 업계에 영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아오모리현 내 수산 관계자들은 지난달 31일 중국의 금수 조치 이후 판로을 모색하고 있지만, 설비 투자의 장애물은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가리비뿐만 아니라 해삼 역시 중국 금수 조치에 갈 곳을 잃었다. 중국은 일본의 얼마 안되는 해삼의 수출국으로 알려졌다. 일본 무역진흥기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아오모리현 내 수산물 수출 가운데 수익 50% 이상은 중국에서 비롯됐다. 

일본의 한 가리비 가공회사 대표인 요코하마 미쓰토시는 새로운 수출처로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 등 새로운 수출처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시장이 없어도 수산업이 운영될 수 있도록 정부나 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히로사키대학 식료경제학과 교수인 이시즈카 야시는 "거대한 중국 시장을 대체할 수출국이 없어 판로 확대도 난항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정라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